“설 연휴 고속도로 와이파이 해킹 조심하세요”
해커 악성 코드 유포 활동 활발해
스미싱 범죄·인터넷 주소 변조 주의
![](/data/ecn/image/2022/12/06/ecn8c04ac18-fa9e-4aae-8e15-615fc4bf5cd7.559x.0.jpg)
21일 안랩에 따르면 올해부터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와 졸음쉼터 등에서 무료 와이파이가 제공된다. 무료 와이파이는 해커가 공유기 한 개만 장악해도 해당 공유기에 접속된 PC와 모바일 기기가 모두 해킹당할 수 있어 위험이 크다.
또 명절에 기차표와 항공권, 숙박 예약, 여행지 정보 검색, 선물 교환 등으로 스마트폰 사용량이 매우 증가하는 만큼 해커의 악성 코드 유포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다.
실제로 무료 와이파이의 악성코드 감염에 따른 인터넷 주소(DNS) 변조 및 개인정보 유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DNS가 변조되면 사용자가 정상적인 주소를 입력해도 해커가 실제 사이트와 매우 유사하게 제작한 사이트로 연결돼 사용자에게 피해를 준다.
이에 안랩은 무료 와이파이 이용 시 포털 사이트 등 인터넷 서비스의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수시로 바꾸고, 중요한 정보를 백업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또 안드로이드 폰 사용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 항목을 ‘허용하지 않음’으로 설정해야 URL 링크를 클릭했을 때 정체불명의 앱이 설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스미싱 범죄에 따른 금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에 통신사 고객센터를 통해 소액결제 한도를 축소하고, 수신된 모든 문자 메시지를 신중하게 확인해야 한다.
안랩은 “출처가 불분명한 기차표와 항공권, 택배 안내, 안부 인사 같은 정보성 문자 메시지, 메일 첨부 파일의 열람, URL 실행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박중훈 “중공군과 싸운 父, 유공자 인정돼 자랑스러워”
2열 알바생 안 부러운 '외식업계 효자'...테이블오더 시대 '활짝'
3초고령화 사회 진입에…노후보장 ‘시니어보험’ 들어볼까
4“마음의 길을 알고 싶을 때 유용한 나침반이 되고 있다”
5강력한 팀을 만들고 싶다면…’모닥불 타임’을 해보라
6게임업계, ‘3N’서 ‘NK’로 재편…IP가 희비 갈라
7"쿠팡플레이, 해외서 잘 나가잖아?"...가족계획부터 뉴토피아까지
8추경, 가장 중요한 것은
9‘3089억 횡령’ 경남은행 직원, 2심도 징역 35년…추징금 159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