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웨덴 남성 약 6만명 조사 결과 답은 ‘NO’
“극도의 직업 성공은 행운 덕분일 가능성”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스웨덴 링코핀대 사회학자인 마르크 셰우슈니그는 이같은 결론을 담은 논문을 학술지 유럽사회학리뷰에 게재했다.
셰우슈니그는 스웨덴에서 태어난 남성 5만9387명의 18∼19세 지능을 검사한 뒤, 35세부터 45세까지 11년간의 소득을 추적했다.
지능 검사는 징병제에 따라 군대에 갈 때 의무적으로 치른 것으로 ▲언어 이해력 ▲기술 이해력 ▲공간능력 ▲논리 등이 검사 대상이다.
조사 결과 지능과 소득 수준은 특정 문턱까지만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우선 연봉 60만 스웨덴 크로나(약 7400만원)까지는 지능이 높을수록 소득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60만 스웨덴 크로나 이상으로 소득이 높아지더라도 지능은 그 자리에 머물렀다. 특히 소득 상위 1%에 있는 남성들은 소득 구간이 아래 단계인 사람들보다 지능이 낮았다.
셰우슈니그는 “엄청난 보수를 받는 최상위 직업을 가진 이들이 그 절반밖에 못 버는 이들보다 잘났다는 증거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극도의 직업적 성공이 능력보다는 가족의 뒷받침이나 행운 덕분일 가능성이 더 크다”고도 해석했다.
다만 이번 연구에는 동기부여와 사교기술 등 고소득에 기여할 수 있는 비인지능력이 고려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지능이 높은 사람들이 고소득 직업을 추구하지는 않는다는 점도 허점으로 지적됐다.
셰우슈니그는 고소득층에서 지능과 소득의 상관관계가 없다는 점만큼은 소득 불평등에 대한 경종으로 주목했다.
그는 스웨덴이 소득 격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라는 점을 고려하면 다른 나라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셰우슈니그는 “최상위 소득자가 내리는 결정은 많은 사람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며 사회 내부에서 이들을 둘러싼 자격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마흔 전에 10억"...신혼여행 첫날밤 숨진 19세 신부 [그해 오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이데일리
"걸리면 혼난다" 수지 '루머'에 대표 발끈..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李 "토론 통해 檢개혁안 마련하라"…여권, '실질논쟁' 이뤄질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서울회생법원, 양재 ‘캠코양재타워’ 임차 이전 추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퀀타매트릭스, 국내 최초 美정부 200억 지원과제 뚫었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