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이례적 주주 국적 공개한 카카오…'中 기업 논란' 지울까
- 국내주주 비중 74%…中 텐센트 지분 5.9%
뱅크·페이도 텐센트·알리페이가 대주주
엔터·IT 잠식한 차이나 머니…우려 목소리도


카카오가 주주총회 공시를 통해 국적별 주요 주주를 공개한 건 이례적이다. 카카오는 그간 중국 자본 논란에 휩싸여 왔다. 카카오 주주 구성 중 가장 많은 주식을 보유한 외국인 주주는 막시모(MAXIMO PTE. LTD)다. 막시모는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의 자회사다. 중국 메신저 위챗(WeChat)으로 유명한 기업이다.
텐센트는 카카오 설립 초기인 지난 2012년 자회사를 통해 카카오에 720억원을 투자했다. 당시 텐센트는 카카오 지분 13.8%를 확보하면서 김범수 창업자에 이어 2대 주주로 올라섰다. 당시 텐센트가 카카오 지분을 10% 넘게 보유하면서 ‘중국 자본’ 논란이 시작된 셈이다.
카카오 외에도 상장사인 카카오뱅크(323410)와 카카오페이(377300)에도 텐센트 등 중국 자본이 포함돼 있다. 텐센트 자회사인 스카이블루럭셔리 인베스트먼트는 카카오뱅크 주주며, 중국의 대표적인 간편결제 사업자인 알리페이는 카카오페이의 2대 주주다.
카카오가 주주 구성을 공개한 건 ‘중국 자본’ 논란을 해소하고 국내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함으로 보인다. 카카오는 국가별 주주 구성 비중도 공개했다. 카카오의 주식의 73.9%는 국내 주주가 소유하고 있다. 이외 싱가포르 7.3%, 북미 7.2%, 기타 외국인이 11.6%으로 구성됐다.

카카오의 신규 사내이사 후보로 오른 배재현 카카오 공동체 투자총괄은 카카오 자본 유치 및 투자 등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해 왔다. 하이브와 이수만 SM 전 총괄 프로듀서 연합 움직임에 공격적으로 대응하려는 선택으로 보인다.
배 대표는 SM 지분 인수, 카카오엔터테인먼트 합병,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 투자 유치 등 관련 사업을 직접 이끌어왔다. 특히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유치한 투자금 1조2000억원을 운용 및 M&A(인수합병) 자금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히면서 향후 해당 자금이 SM 인수전의 실탄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업계에선 SM을 둘러싼 인수 주체가 어떻게 되더라도 결국 중국 자본과 관련돼 있을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텐센트가 카카오 지분은 물론 하이브 지분도 보유하고 있어서다. 하이브 2대 주주인 넷마블 지분 17.52%는 텐센트 자회사인 한리버인베스트먼트(Han River Investment PTE. LTD)가 보유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텐센트 등 중국 자본은 국내 엔터테인먼트, IT, 스타트업, 금융권 등 웬만한 기업에 두루 투자해 왔다”면서 “텐센트도 하나의 투자자다. 텐센트가 쥔 카카오 지분이 5.9%라는 점이 (SM 경영권 분쟁에) 어떻게 영향을 줄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뉴트리, 여성위한 신제품 ‘지노마스터 이노시톨’ 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JTBC와 분쟁에도..‘불꽃야구’ 첫 직관 전석 매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복제폰 피해 가능성은 낮지만… SKT 유심 해킹, 전면 조사 불가피(종합2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뛰어난 운용 성과...‘30조’ 행정공제회 허장CIO 연임 성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애드바이오텍, 코스맥스와 피부미용 소재 시장 진출로 매출 반전 꾀한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