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 韓 신용등급 Aa2 유지…올해 성장률 1.6→1.5%로 하향 조정
무디스, 韓국가신용등급 세 번째 높은 등급 부여
양호한 대외건전성, 재정 건전화 의지 등 반영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소폭 하향, “하반기 반등 가능”
[이코노미스트 마켓in 김채영 기자]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Moody’s)가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기존과 같은 ‘Aa2’로 유지했다. 등급전망도 기존과 같은 ‘안정적’을 부여했다. Aa2는 무디스 평가에서 Aaa, Aa1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무디스는 19일 보고서에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이같이 평가한 배경으로 “강한 정책 효율성과 고도의 다양성 및 경쟁력을 갖춘 경제”를 꼽았다. 양호한 대외건전성과 강한 재정 건전화 의지 등도 반영했다고 밝혔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5%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3월 무디스가 제시했던 전망치 1.6%에서 소폭 하락한 수치다. 무디스는 “올해 한국 경제가 반도체 경기 둔화와 통화 긴축, 부동산 시장 조정 등으로 성장이 다소 둔화할 것”이라면서도 “하반기 이후 반도체 경기가 회복되면서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가계·기업부채가 소비·투자 심리에 부담 요인이라고 보지만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가계대출에 대한 건전성 규제 등으로 리스크가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최근 글로벌 은행권 시스템 위기와 관련해 “한국의 은행 업종이 현재 리스크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정도는 낮은 편”이라면서도 “한국이 수출 기반 경제인 만큼 전 세계 금융시장 상황에 변동성이 확대되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재정부담 요인으로는 지난해 세제개편에 따른 세수 감소, 고령화로 인한 지출 증가 등을 언급했다. 공기업 부채는 팬데믹에도 비교적 잘 억제됐지만 에너지·건설 부문 부채가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전력의 경우 회사채 발행한도 확대로 조달여력이 강화됐지만 향후 우발채무로 인한 재정부담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무디스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등급부담 요인이지만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 “최근 핵협의그룹 신설 및 전략자산 전개 등을 포함한 한미정상의 ‘워싱턴 선언’으로 북한 위험이 억제됐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국제 신평사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고령화 등 구조개혁과제 대응, 잠재성장률 제고, 금융시장 안정성 유지를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등 대외신인도 제고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 한국의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개혁, 고령화 극복을 위한 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등을 꼽았다. 반면 한국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 등을 향후 한국의 신용등급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거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디스는 19일 보고서에서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이같이 평가한 배경으로 “강한 정책 효율성과 고도의 다양성 및 경쟁력을 갖춘 경제”를 꼽았다. 양호한 대외건전성과 강한 재정 건전화 의지 등도 반영했다고 밝혔다.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1.5%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3월 무디스가 제시했던 전망치 1.6%에서 소폭 하락한 수치다. 무디스는 “올해 한국 경제가 반도체 경기 둔화와 통화 긴축, 부동산 시장 조정 등으로 성장이 다소 둔화할 것”이라면서도 “하반기 이후 반도체 경기가 회복되면서 반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가계·기업부채가 소비·투자 심리에 부담 요인이라고 보지만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부동산·가계대출에 대한 건전성 규제 등으로 리스크가 완화됐다”고 평가했다.
최근 글로벌 은행권 시스템 위기와 관련해 “한국의 은행 업종이 현재 리스크에 직접적으로 노출된 정도는 낮은 편”이라면서도 “한국이 수출 기반 경제인 만큼 전 세계 금융시장 상황에 변동성이 확대되면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재정부담 요인으로는 지난해 세제개편에 따른 세수 감소, 고령화로 인한 지출 증가 등을 언급했다. 공기업 부채는 팬데믹에도 비교적 잘 억제됐지만 에너지·건설 부문 부채가 높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한국전력의 경우 회사채 발행한도 확대로 조달여력이 강화됐지만 향후 우발채무로 인한 재정부담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무디스는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여전히 등급부담 요인이지만 리스크 현실화 가능성은 높지 않다”면서 “최근 핵협의그룹 신설 및 전략자산 전개 등을 포함한 한미정상의 ‘워싱턴 선언’으로 북한 위험이 억제됐다”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국제 신평사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고령화 등 구조개혁과제 대응, 잠재성장률 제고, 금융시장 안정성 유지를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는 등 대외신인도 제고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향후 한국의 신용등급이 상향 조정될 수 있는 요인으로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개혁, 고령화 극복을 위한 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 등을 꼽았다. 반면 한국 경제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 등을 향후 한국의 신용등급을 떨어뜨릴 수 있는 요인으로 거론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케이뱅크 임직원, 연말 맞아 연탄·난방유 등 나눔 봉사
2국민이주㈜, 시중 4대 은행 협력으로 릴레이 미국이민 프로그램 미국투자이민 세미나 개최
3“아름다운 겨울 만끽”…홀리데이 시즌 기념 ’샤넬 윈터 테일 홀리데이 아이스링크’ 오픈
4신한은행, 강남구와 ‘땡겨요’ 업무협약 체결
5"거액 치료비 선납했는데 의료기관 폐업"…소비자 주의 요구
6“환율 1300원에 환전해줘” 토스뱅크 외화통장, 신규 기능 추가
7신한금융, AI 활용 아이디어 공모전 성료…대상 3개팀 선정
8업비트, 보이스피싱 피해자 380여명에 85억원 환급
9DGB금융, 경영관리·인사 부서장에 외부 인재 영입…인력구조 혁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