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장마 소식에 ‘이 제품’ 불티나게 팔린다
제습기·공기청정기 등 장마철 가전 인기
올여름엔 ‘레인패션’ 도전…거래액 급증

7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티몬에서 거래된 계절 가전 제품의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73% 늘었다. 수요가 몰린 품목은 제습기다. 이 제품을 구매한 고객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91% 늘었고 거래 규모의 증가 폭도 1년 전과 비교해 1241% 증가했다.
폭우로 인한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제습기를 구매하는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위닉스에 따르면 지난 5월 1일부터 21일까지 이 회사 제습기를 구매한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7% 늘었다. 위니아도 지난 5월 한달 동안 제습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170% 증가했다고 밝혔다.
제습기뿐 아니라 선풍기, 공기청정기 등 장마철 대비 가전의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레인부츠와 레인코트 등 이른바 ‘레인패션’의 구매 건수도 증가하고 있다. 11번가에선 5월 한달 동안 레인부츠 거래 규모가 전년 동기 대비 278% 증가했고 지그재그에서도 같은 기간 레인부츠와 레인코트의 거래 규모가 각각 32배, 39배 늘었다.
올해 이른 장마 소식이 전해진 만큼 다양한 제품으로 산뜻한 여름을 준비하는 모습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 7월 강수량은 평년과 비교해 비슷하거나 많을 가능성이 각각 40%로 나타났다. 다른 달에 비해 비가 더 많이 올 수 있단 뜻이다.
올해 6월과 8월은 강수량이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이 올 가능성이 각각 50%, 30%로 나타났다. 열대 태평양에서 발달하고 있는 엘니뇨의 영향으로 한반도 부근에 많은 양의 수증기가 유입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한반도에선 통상 장마가 6월 말께 제주 지역에서 시작해 중부 지역으로 정체 전선을 확대하며 한 달 동안 이어진다. 올해 장마철도 이달 말부터 시작할 가능성이 크지만 전문가들은 내륙 지역의 경우 평년보다 다소 늦어질 확률이 높다고 예상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6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7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8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9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