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인디아’로 新성장 엔진 장착…거대한 수레바퀴가 구른다 [허태윤의 브랜드 스토리]
모디 총리의 ‘디지털 인디아’ 전략으로 가속
생체 인식 기반 전자주민등록 ‘아드하르’로 복지 기반 구축
세계 최저수준의 데이터 비용으로 국가 혁신

지하경제의 규모가 더 커 세금이 걷히지 않고, 하루에 3~4차례 발생하는 정전으로 생산시설들은 가동이 수시로 중단됐으며 오토릭샤(스쿠터엔진으로 만든 3륜차로 인도의 대표적 대중교통수단), 트럭이 내뿜는 배기가스로 뉴델리의 공기질은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수준이었다. 당시 인도라는 거대한 수레바퀴는 힘을 줘 밀어야 겨우 조금씩 움직이는 수준이었다.
‘디지털 인디아’ 전략으로 변화 가속화
인도에서 택시나 오토릭샤를 탈 때 생기는 불편한 고민들을 ‘올라’나 ‘우버’ 같은 공유 차량 플랫폼이 말끔히 사라지게 했다. 또 상점에서 물건을 사면 으레 흥정을 위해 실랑이를 벌여야 하는 피곤함도, 거스름돈을 제대로 챙겨 받지 못할까 하는 우려도, 인도 모바일 페이 페이티엠(PAYTM)이 말끔히 해결했다.

인도 정부는 힌두어로 ‘기초’를 의미하는 아드하르를 사회 복지 시스템의 기반으로 삼고 IT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궁극적으로 탈세를 막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간파했다. 교육과 복지, 의료 인프라를 개선하는 혁신 수단으로 이 시스템을 강력하게 추진한 결과 현재 인도 국민 90% 이상이 이 아드하르를 받았다고 한다.
이전의 인도는 호적 제도가 없어 정부가 빈곤층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정부가 저소득층 지원을 할 때도 물리적으로 식량을 전달하지 않고는 이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할 방도가 없었다. 은행 계좌를 만들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당연히 공무원이나 기업들이 지원금을 뒤로 빼돌려도 적발하기가 힘들었다. 인도 정부가 아무리 좋은 분배 정책을 실행해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이유다.
아드하르가 생겨나며 복지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정부패 해소, 탈세를 막는 등의 일이 가능해졌다. 국민 모두는 이제 은행 계좌를 가질 수 있게 됐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모바일 결제도 가능해졌다.
전자주민등록 시스템 ‘아드하르’, 저렴한 데이터 비용이 두 축
‘아드하르’를 도입하며 두 번째로 공을 들인 부분이 데이터 비용이었다.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도입해도 데이터 비용이 인도 저소득층에게 부담이 되면 모든 것이 공염불이기 때문이다. 이에 부응한 기업이 인도 통신 기업 ‘릴라이언스’다. 2016년 이 회사는 4G 시장에 진출하면서 데이터 비용을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수준으로 제공하는 ‘지오’ 서비스를 선보였다.

경쟁 기업들도 후발인 릴라이언스의 요금 전쟁에 뛰어들면서 인도인들은 마음 놓고 스마트폰 데이터를 이용하고 상거래를 활발히 전개하고, 14억 인구 대국인 인도를 거대한 소비시장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 세계에서 가장 디지털 결제 거래 건수가 많은 나라가 바로 인도라는 것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ACI월드와이드에 따르면 인도의 실시간 거래건수는 480억 건으로 중국(180억 건)의 약 3배이며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을 모두 합친 건수의 6.5배에 달하고 있다.
인도 유니콘과 엑시트 테크기업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인도 내 유니콘 기업 수는 115개사(시장평가액 약 3500억달러)로 미국 661개사, 중국 312개사에 이은 세계 3위다. 이들 115개사 대부분이 아드하르 도입 이후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등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산업·금융 디지털화에서 파생된 기업들이다.

좀처럼 구르지 못했던 인도라는 거대한 수레바퀴는 이제 서서히 구르기 시작했다. 디지털을 장착한 이 수레바퀴는 세계 최대의 인구라는 중력이 더해져 더욱 빠른 속도로 가속이 붙어 갈 것으로 보인다. 이제 인도를 다시 봐야 할 시간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분기 매출 선방한 삼성전자, 2분기도 이어질까
2미셸 오바마, '이혼설' 일축…"부부관계와 아무 상관 없어"
3신한투자증권, 우수고객 서비스 업그레이드 론칭
4핀다, 지난해 가계대출 위축에도 매출 호조세 이어가
5'지옥에서 천당으로'…코스피, 관세유예에 6.6% 폭등 '축포'
6기업은행, 6월부터 ‘IBK인증서’ 통해 본인확인 서비스 제공
7설화수, 윤조에센스 팝업스토어 ‘윤빛 라운지’ 운영
8日 배드민턴 스타 "중국 갈 때마다 무서워"…스토킹 피해 호소
9매일헬스뉴트리션 ‘셀렉스’, 5년째 SSG랜더스와 함께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