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2030년 전기차 200만대 팔겠다”...전동화 전략 핵심 ‘현대 모터 웨이’ 시동(종합)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도입·생산 역량 강화·배터리 역량 고도화 추진
장재훈 “과거부터 축적한 혁신 DNA로 톱티어 전기차 리더십 확보”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미래 전동화 전략인 현대 모터 웨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장재훈 현대차 사장. [사진 현대차]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현대자동차가 내연기관 시대부터 쌓아온 자동차 사업 노하우와 기술 역량, 브랜드 유산을 적극 계승하며 성공적인 전동화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새로운 중장기 전략인 ‘현대 모터 웨이’(Hyundai Motor Way)를 통해서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 전기차(EV) 200만대 판매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현대차는 향후 10년간 연평균 3조원 이상의 투자로 전동화 전환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신용평가사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열고 새로운 중장기 전동화 사업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올해 33만대에 이어 2026년 94만대, 2030년 200만대 규모의 전기차를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글로벌 전기차 판매 규모를 3년 내 3배 수준, 7년 내 6배 이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CEO 인베스터 데이 발표와 비교하면 2026년과 2030년의 전기차 판매 목표가 각각 10만대, 13만대 상향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중장기 전동화 전략인 ‘현대 모터 웨이’도 공개했다. 상세 전략은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 ▲전기차 생산 역량 강화 ▲배터리 전 영역 밸류체인 구축 등이다.

현대 모터 웨이①…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도입

현대차는 2020년 말 선보인 전용 전기차 플랫폼 ‘E-GMP’에 이어 2025년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 개발 체계 완성 및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으로 다시 한 번 글로벌 완성차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를 통한 차세대 차량 개발 체계는 현행 플랫폼 중심 개발 체계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형태다.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은 중형 SUV 차급 중심의 현행 E-GMP와 달리 공용 개발이 가능한 차급 범위가 소형부터 초대형 SUV, 픽업트럭, 제네시스 브랜드 상위 차종 등 거의 모든 차급으로 확대된다. 현대차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현대차 4종, 제네시스 5종의 승용 전기차를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으로 개발해 내놓을 계획이다.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은 5세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와 고효율·고출력 모터 시스템 등 PE(Power Electric) 시스템 탑재를 목표로 개발된다. 향후 각형 NCM 배터리를 포함해 폼팩터(Form Factor) 다변화와 경제성, 안전성 등이 장점으로 꼽히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적용이 추진된다.

또한 현대차는 주행거리 추가 확대를 위해 보조배터리를 활용한 주행 중 충·방전 기술을 적용하는 등 기반 기술 확보를 준비 중이다. 배터리는 AI(인공지능)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원격진단 기능을 추가하고 급속한 열확산 차단 등 화재 안전 기술을 적용한다.

아울러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은 SDV(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 실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와의 호환성도 중요하게 고려해 개발되고 있다. 현대차는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에 개방형 OS(운영체제) 적용을 통한 앱 생태계 구축을 추진하며, 레벨 3 이상의 자율주행 고도화, 공간 탐색 원격 주차 및 출차 제어 기능 등을 구현할 계획이다.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미래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고 있는 장재훈 현대차 사장. [사진 현대차]
현대 모터 웨이②…전기차 생산 역량 강화

현대차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 확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 공장을 전기차 생산이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방안과 전기차 전용 공장을 신규 건설하는 방안 등 ‘투 트랙’ 전략을 추진해 보다 유연하고 효과적인 수요 대응을 노린다.

먼저 현대차는 기존 내연기관 생산라인을 전기차 생산이 가능한 혼류 생산 라인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 공장을 전기차 생산이 가능하도록 전환하는 것이 신규 공장 건설과 비교할 때 시간적, 비용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현대차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가 생산 라인에 각각 투입된 울산공장과 아산공장이다. 현대차는 500억~1000억원 수준의 투자와 한 달 간의 생산 라인 변경 작업으로 이를 실현했다.

현대차는 내연기관 공장에 전기차 라인을 적용하는 방식을 한국 외에도 미국, 체코, 인도 등에 도입한 상태다. 향후 현지 수요 증가를 고려해 추가 현지 라인 전환을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현대차는 전기차 수요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시장에 별도의 전기차 전용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2024년 하반기 양산 개시를 목표로 건설하는 첫 전기차 전용 공장 미국 조지아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와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는 울산 전기차 전용 공장이 대표적이다. 현대차는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의 스마트 제조 신기술을 적극 도입해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다는 구상이다.

현대차는 투 트랙 방식의 생산 역량 확대를 통해 글로벌 전기차 생산 비중을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 34%로 확대할 계획이다. 2030년 주요 지역(미국, 유럽, 한국)에서의 전기차 생산 비중은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48%를 목표로 한다.

현대 모터 웨이③-①…배터리 역량 확보·소재 수급 안정화

현대차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기술 역량 강화에도 집중한다. 남양연구소에 배터리 시스템, 셀 설계, 배터리 안전 신뢰성 및 성능 개발, 차세대 배터리 등 선행 개발을 포함하는 기능별 전담 조직을 마련하고 전문 인력 확보 및 육성에 나선 상황이다. 현대차는 향후 10년 간 9조5000억원을 투자해 배터리 성능 향상 및 차세대 배터리 선행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배터리 역량 확보를 위해 전문 업체, 스타트업, 학계 등 외부 협업도 꾸준히 확대하고 있다. 현대차는 안정적인 배터리 수급을 위해 SK온,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배터리사와 합작법인(JV, Joint Venture)을 설립하고 공동 개발에 나섰다.

현대차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위해 스타트업과의 공동 연구 등도 진행 중이다. 미국 솔리드파워 등 업체와 전고체 배터리 요소 및 공정기술 확보를 위해 협업 중이며, 미국 솔리드에너지시스템(SES)과는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을 위해 협업하고 있다.

안정적인 배터리 소재 수급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 배터리 합작법인 공급용 양극재의 주요 소재가 될 리튬 공급을 위한 계약을 추진 중이다. 리튬과 니켈 등 전동화에 필수적인 원소재를 포함해 주요 소재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소재 업체와 다양한 협력구도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환경 보호 및 지속가능한 원소재 확보 차원에서 폐배터리를 회수해 원소재를 재활용하는 체제도 구축한다. 현대차는 그룹사와의 협업을 통해 안전하게 배터리를 회수하고 추출한 원소재를 배터리 제조에 다시 활용하는 지속가능한 ‘배터리 라이프 사이클’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전기차 성능 최적화를 위한 배터리 관리 역량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힌 장재훈 현대차 사장. [사진 현대차]
현대 모터 웨이③-② 배터리 설계·관리 역량 강화 및 차세대 배터리 개발

현대차는 안정적인 소재 수급부터 배터리 설계 및 관리 역량강화, 차세대 배터리 개발 계획을 수립해 배터리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올해는 새로운 하이브리드(HEV) 차량을 선보이며 자체 설계한 배터리를 탑재할 예정이다. 앞서 2021년 SK온과 하이브리드차량용 배터리 셀 공동 개발을 위한 MOU(업무협약) 체결을 발표한 현대차는 이번 협업에서 최적의 배터리 성능을 구현하고자 소재 검증부터 적용 비율을 포함한 사양 확정 및 설계, 제품 평가와 성능 개선에 이르기까지 핵심 과정을 직접 맡았다.

현대차는 가격 경쟁력 확보 및 수요 대응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 셀 개발도 추진한다. LFP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셀과 특화 배터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동 개발을 배터리 회사와 진행 중이다. 2025년쯤 공동 개발한 LFP 배터리를 전기차에 최초 적용하고 추후 신흥 시장 중심으로 탑재 모델을 늘려갈 방침이다.

전기차 성능을 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역량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다. 배터리 예열, 냉각 등 배터리 컨디셔닝 기술뿐만 아니라 배터리 관리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높은 수준의 주행거리와 긴 수명, 안전성을 갖춘 전기차 구현을 추진한다. 다음달 공개 예정인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은 극한의 주행 조건에도 최대의 주행 성능을 이끌어낼 수 있도록 돕는 ‘고성능 EV N 특화 열관리 제어’를 포함해 최고 수준의 현대차 EV 열관리 기술이 집약될 예정이다.

또한 현대차는 리튬메탈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을 가속화하고 차세대 배터리 양산성을 검증하기 위해 의왕연구소에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을 내년까지 건설하기로 했다.

현대차는 미래 중장기 전략을 실현하기 위해 2023년부터 2032년까지 향후 10년간 총 109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33%에 해당되는 35조8000억원을 전동화 관련 투자비로 책정했다.

장재훈 사장은 “현대차는 전동화와 미래기술에 대해 어떠한 글로벌 회사보다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앞으로 전동화 톱티어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라며 “‘현대 모터 웨이’는 수많은 현대차 임직원들이 축적해 정립한 혁신 DNA가 구체화된 모습으로, 새롭고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디타워 돈의문' 9000억원에 팔렸다

2민주당 ‘상법 개정’ 움직임…재계 “기업 성장 의지 꺾는 정책”

3파월 발언에 '비트코인' 상승세 멈췄다

4금성백조, ‘화성 비봉 금성백조 예미지 2차’ 모델하우스 15일 오픈

5탈 서울 기업들 몰리는 청라 국제도시…新랜드마크 ‘청라파이낸스센터’ 주목

6 코스피 2400선 내줘…8월 '블랙먼데이' 이후 처음

7대한전선, 역대 최대 수주 잔고…실적 상승세 가속

8도미노피자, ‘K-쌈장 채끝 스테이크 피자’ 출시 프로모션 진행

911번가, 3분기 영업손실 55% 개선…오픈마켓은 8개월 연속 흑자

실시간 뉴스

1'디타워 돈의문' 9000억원에 팔렸다

2민주당 ‘상법 개정’ 움직임…재계 “기업 성장 의지 꺾는 정책”

3파월 발언에 '비트코인' 상승세 멈췄다

4금성백조, ‘화성 비봉 금성백조 예미지 2차’ 모델하우스 15일 오픈

5탈 서울 기업들 몰리는 청라 국제도시…新랜드마크 ‘청라파이낸스센터’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