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수험생만 피로하다’…사교육 경감책 두고 여야 날선 공방

국민의힘 “편법 쓰던 조국 사태 더는 없어야”
민주 “졸속 추진 멈춰라…수험생 절규한다”

지난 2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학원 앞에 수업 내용과 관련된 광고문구가 적혀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정부가 26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킬러 문항’ 사례를 공개하고 사교육 경감 대책을 발표한 데에 여야의 반응이 엇갈렸다.

우선 여당인 국민의힘은 킬러 문항 배제 등의 대책이 ‘교육 공정성 강화 방안’이라며 환영했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늦었지만 이제라도 백년대계로 일컬어지는 교육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공교육 정상화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다행”이라고 밝혔다.

전 원내대변인은 “입시 불안감에 편승한 사교육에 학교는 학교대로 황폐화하고 학생과 학부모는 고통 속에 빠졌다”며 “수능은 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이 나와야 한다. 너무나도 당연한 결정을 내리는 데 이토록 오래 걸렸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능은 물론, 교육에서 불공정은 영원히 사라져야 한다”며 “남의 귀한 자식들은 ‘붕어·개구리·가재’로 살 것을 종용하고서 정작 자기 자녀는 온갖 편법으로 용을 만들고자 했던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는 더 이상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제1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교육부의 킬러 문항 발표가 수험생들의 혼란을 더욱 가중했다고 비판했다.

권칠승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즉흥 지시를 완수하려는 교육부의 행태가 눈물 난다”며 “대통령이 배제하라고 지시한 킬러 문항의 예제를 내놓으면 수험생들의 혼란이 해소되느냐”고 지적했다.

권 수석대변인은 “수험생들의 고충을 덜어주지는 못할망정 기름을 붓고 있는 꼴”이라며 “심지어 EBS 연계 출제 조항까지 킬러 문항이라고 하면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고 반문했다.

이어 “대통령의 즉흥 지시와 교육부의 졸속 추진 맞장구에 혼란에 빠진 교육 현장은 참담하기 이를 데 없다”며 “갈등과 혼란만 조장하는 윤석열식 졸속 추진을 제발 멈춰라. 제발 모르면 가만히 있으라는 수험생들의 절규에 귀 기울이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날 정부는 킬러 문항 출제 배제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사교육비 경감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킬러문항 배제 외에도 수능 출제위원들의 사교육 영리 행위를 금지하고 유아 대상 영어학원의 편법 유치원 운영을 점검하는 등 ‘단속’에 초점을 맞춘 대책들도 나왔다. 수능뿐 아니라 논술·구술 등 대학별고사의 교육과정 내 출제 여부도 점검할 예정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2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3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4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5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

6넥슨, 신규 PC 게임 ‘프로젝트 로키’ 정식 명칭 ‘슈퍼바이브’로 확정

7SK온, 엑손모빌과 리튬 공급 MOU…美 리튬 최대 10만톤 확보

8해외건설전문가포럼, ‘해외투자개발사업 법률적 타당성조사 공동 세미나’ 성료

9우리은행, 벤처기업에 ‘원비즈플라자’ 무상 제공

실시간 뉴스

1볼보코리아, 어린이 안전 등하굣길 지원…교통안전 용품 5000개 기증

2케이엠텍, 전고체ㆍ건식전극 제조설비 전문업체로 우뚝

3 작년 마약사범 연간 2만명 첫 돌파…10대도 급증

4이창용 총재, ‘BIS 연차총회’ 참석 위해 스위스行

5한국캐피탈, 한국전쟁 참전용사 후손 16명에 장학금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