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입고 알람에 홈피 마비”…‘바늘 한 땀, 한 땀에 영혼 담는’ 일본 국민 가방 [브랜도피아]
‘요시다 가방’으로 시작해 1962년 ‘포터’ 론칭
‘일침입혼’ 슬로건 아래 제조국인 일본서만 생산 고집

재입고 알림이 울리자마자 한국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했다. 접속 대기 상태가 한참 동안 이어지고 어렵게 구매단계까지 갔지만 이내 마주한 것은 ‘재고 부족’이란 창이었다. 최근 한 일본 가방이 국내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 출생자) 사이에서 ‘품절 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일본 국민 가방’이라 불리는 ‘포터’(PORTER)가 그 주인공이다.
‘물건 운반하는 도구’ 가방의 본질에 집중…일본 생산 고집

1935년 29세의 나이로 ‘요시다 가방 제작소’를 설립한 기치조는 자신의 이름을 내건 가방을 만들기 시작했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했을 때는 자신의 작업 도구들을 다리 아래 창고에 숨겨놓은 채 징집이 되기도 했고, 전쟁이 끝나자마자 그는 다시 가방을 만드는 데 매진했다.
일본의 경제 부흥이 시작되며 기치조의 가방은 큰 인기를 얻게 됐고, 일본 황족이 사용하는 모습이 남아있을 정도로 고품질의 실용성 높은 가방을 많이 제작했다. 상류층을 포함해 소비자들에게 높은 명성을 얻기 시작하자 1962년 기치조는 ‘포터’(PORTER)라는 브랜드 이름을 붙이게 된다.
포터는 호텔이나 역에서 가방을 나르는 짐꾼들을 일컫는 말로, 기치조는 가장 많은 가방을 만져보고 다뤄본 이들은 포터들이기에 누구보다 가방에 대해 잘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해 지었다. 자신의 가방이 수많은 포터들의 손에 닿으며 세계 곳곳에 퍼지기를 바라는 그의 마음 또한 담겨있었다고 전해진다.
바늘 한 땀, 한 땀에 영혼을…미 공군 항공자켓서 영감 얻은 ‘탱커’

포터는 일본에서 가장 큰 가방 브랜드지만 자체 공장이 없는 것으로 유명하다. 도쿄 인근의 가방 장인들과 계약을 맺어 포터의 여러 제품 라인을 생산하고 있고, 규모는 작지만 우수한 기술력을 가진 공방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높은 품질을 유지하고 있단 설명이다.
포터의 대표적인 제품은 ‘탱커’(TANKER) 시리즈로 1983년 당시 가방의 소재로는 잘 사용되지 않던 나일론을 선택해 업계의 큰 주목을 받았다. 탱커 시리즈는 미 공군의 항공 자켓인 MA-1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아 당시엔 생소했던 밀리터리 콘셉트를 가방에 담아낸 디자인이 특징이다.
가볍고 수납 공간이 다양한 이 제품은 무겁고 단단한 기존의 가죽 가방을 대체하며 포터의 창업정신을 가장 잘 반영한 아이템 중 하나가 됐다. 현재 탱커 제품은 일본 현지에서도 구하기 힘들며 국내에서도 입고 즉시 품절이 되고 있어 리셀 플랫폼 크림(KREAM)이나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 등에서 웃돈이 붙어 판매되고 있다. 포터 탱커 라인 제품은 디자인과 크기에 따라 가격이 19만8000~67만8000원까지 다양하다.

가방을 생산하는 브랜드는 많지만 가방‘만’ 만드는 브랜드는 많지 않다. 포터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장수 가방 브랜드로써 수십년째 가방에만 집중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가방의 기본적인 본질을 우선으로 해 ‘한 스티치에 모든 열정을 유지하라’는 마음으로 100년의 역사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13번째' 로켓 베이비 등장?...일론 머스크는 '연락 두절'
2프란치스코 교황, 병세 계속 위중… 교황청 “한때 호흡곤란”
3"식구끼리 비방하면 누가 좋나"…이재명 강성 지지층 자제 당부
4경제8단체 “상법 개정 철회하고, 대안으로 자본시장법 개정”
5 이준석 “이재명, 정치도 운전도 이렇게 하면 사고 나"
6이재명 “아직도 초부자감세 미련 있나”…세제개편 토론 제안
7지난해 육아휴직자 10명 중 3명은 남성…처음으로 30% 넘어
8국민 55%는 ‘국장’보다 ‘미장’ 선호…그 이유는?
9SK텔레콤, MWC 2025 참가…AI 기반 혁신 기술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