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역대급 폭염에도 ‘추운’ 물가…상추·시금치·미나리 등 채소류 값 다 올랐다
- 식품 이어 곡물·유가도 상승세…하반기 가격 인상 가능성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 6.3%...1년 전보다 7.5%↑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장마철 집중호우에 이어 역대급 무더위 속에서 농산물 가격이 치솟고 있다. 상추 가격이 한 달 새 3.2배로 급등했고 밥상에 단골로 오르는 시금치와 미나리 등 채소류 가격도 약 2배 가량 치솟았다. 여름 휴가철과 추석 연휴를 앞둔 가운데 당분간 밥상물가 상승 곡선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서민들의 물가 부담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적상추 4㎏ 평균 도매가격은 7만2220원으로 전달(2만2432원) 대비 222.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시금치(4㎏)는 161.1%, 미나리(7.5㎏)는 119.4% 뛰었다. 최근 집중호우로 일부 농산물 수급이 불안해지면서 채소류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보인다.
당장 밥상 물가가 오르면서 서민과 중소상인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6.3%로 전체 소비자물가(2.7%)를 크게 웃돌았다. 서민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가공식품 물가의 경우 1년 전보다 7.5%나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두 배 이상 웃돌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쟁 중에도 세계 최대 곡물생산국인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을 가능하게 했던 ‘흑해곡물수출협정’까지 종료되면서 곡물수입가도 다시 오를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과 이상 기후 여파로 식료품발 인플레이션이 재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는 휘발유 값 역시 부담이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7월 넷째 주(23∼27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지난주보다 15.7원 오른 L당 1599.3원을 기록했다. 국내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이번 주 휘발유 평균 가격은 전주보다 22.4원 상승한 1680.1원, 최저가 지역인 울산은 18.4원 상승한 1573.2원이었다
미국자동차협회(AAA)에 따르면 26일 미국 내 휘발유 가격이 전날 대비 5센트 오른 갤런당 3.69달러를 기록했다. 하루 상승 폭으로는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높다. 미 에너지 전문가들은 산유국들의 감산과 정유공장까지 마비시키는 극심한 폭염 등을 유가 상승의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밥상 물가가 들썩이자 정부는 가격 안정화에 나섰다. 정부는 이달 말부터 다음 달까지 상추 등 농축산물 10개 품목을 최대 30% 할인하기 위해 약 1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상추, 양파, 시금치, 깻잎, 닭고기, 감자, 대파, 오이, 애호박, 토마토 등이 할인 지원 대상이다.
정부는 또 집중호우로 피해를 본 시설채소 농가에는 조기 재정식 및 약제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피해를 받지 않은 지역 농산물에 대해서는 운송비·수수료 등 출하 장려금을 지원해 생산량 증대 및 도매시장 출하 확대를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내 식품업체들은 현재 정부의 가격 인상 자제 압박으로 제품 가격 인상분을 최소화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인건비를 비롯해 전기료와 가스료 등 제반비용이 모두 상승해 원가 압박이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입을 모은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가격 인상 압박에 눈치를 보고있지만, 최근 치솟는 원자재값 영향으로 업계 역시 힘든 상황은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석열 "하루하루 힘들어" 옥중 편지 공개..."특검, 악의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연복 밀키트서 대장균 검출, 결국 사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정부 공공 입찰까지 올스톱…서울보증 전산 사흘째 먹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후광이 사라졌다" 기업 신용등급 거품 꺼지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