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주량 줄었지만…조선업 초호황 ‘온다’
韓 조선, 7월 전 세계 수주량 ‘1위’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33만CGT(96척)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의 수주량은 146만CGT(29척, 44%), 중국의 수주량은 113만CGT(48척, 34%)로 나타났다. CGT는 표준 화물선 환산 톤수를 말한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의 발주량은 2312만CGT(858척)로, 지난해 같은 기간(3067만CGT, 1170척)보다 25% 감소했다. 이 기간 한국과 중국의 수주량은 694만CGT(152척, 30%), 1301만CGT(542척, 56%)로 조사됐다.
7월 말 전 세계 수주 잔량은 6월보다 19만CGT 증가한 1억1777만CGT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한국의 수주 잔량은 3926만CGT(33%), 중국은 5535만CGT(47%)를 기록했다. 한국과 중국의 수주 잔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9%, 13% 증가한 수치다.
야드별로 수주 잔량을 따지면,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가 1000만CGT로 전 세계 1위를 기록했으며, 이어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한화오션 옥포조선소가 2위와 3위인 것으로 파악됐다.
7월 말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72.38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8P 상승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988년 1월 기준 선박 건조 비용을 100으로 정하고, 매달 가격을 비교해 매기는 수치다. 이 지수가 100보다 크면 선가가 올랐다는 의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맨 평균 연봉, 얼마일까?"...지난해 7% 올라 ‘억 소리’
2데이원컴퍼니‧아이지넷 주가 하락 지속…환매청구권 부담 커지나
3한국게임산업협회, 조영기 전 넷마블 대표 신임 협회장 추대
4“100주 있으면 45만원 받는다”…삼성생명 배당금 역대 최대
5트럼프의 ‘심야 트윗’에 잠 못 드는 미국·유럽 투자자들, 왜?
6재무상담 원하는 MZ 세대 주목…예산 5억원 투입
7“삼겹살이 890원?”...오픈 직후 사람들 몰렸다
8에어비앤비 공동 창업자, LA 산불 피해 주민에 조립식 주택 기부
9현대차 제일 잘 파는 사람, ‘대전’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