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돈 정말 잘 버네'...올해 순이익 27조 넘나
[하반기 은행 전망]① 영끌 살아나며 매 분기 순이익 7조↑
3분기 만에 지난해 순이익 뛰어넘을 전망
만기 돌아오는 115조 정기예금은 부담으로
[이코노미스트 이용우 기자] 국내 경기가 저성장 국면에 들어섰지만 은행들은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시장에서 거론되는 ‘집값 바닥론’ 때문에 대출이 확대되면서다. 업계에서는 올 하반기에도 이자이익이 상승하며 은행들이 역대 최고 실적을 낼 것으로 보고있다.
국내 은행 상반기 순이익 14.1조원
금융권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총 14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조2000억원(42.4%) 증가했다.
산업은행이 한화오션 관련 거액 충당금을 환입하는 등 비경상적 요인으로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다만 이를 제하고도 국내 은행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조9000억원(20.9%) 확대됐다. 업권별 순이익 증가율을 보면 ▲지방은행 10.5% ▲시중은행 12.4% ▲특수은행 110.4% ▲인터넷은행 277.2%를 기록했다.
은행의 호실적 배경에는 가계·기업대출 증가가 자리한다. 고금리 상황에서도 가계는 ‘내 집 마련’과 ‘부동산 투자’를 위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에 나섰고, 기업들은 경기 악화 속 추가 대출을 받으면서 은행의 대출 자산을 키우는 중이다.
한국은행이 8월 22일 발표한 ‘2023년 2/4분기 가계신용(잠정)’ 자료에 따르면 2분기 가계대출은 전 분기보다 10조100억원 증가한 174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주담대는 14조1000억 확대된 1031조2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분기별 주담대 증가액을 보면 ▲지난해 4분기 4조7000억원 ▲올해 1분기 4조5000억원 ▲2분기 14조1000억원이다. 이는 부동산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올해 2분기에 15만5000호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9만1000호 대비 크게 높아진 수치다.
기업대출 증가세도 가파르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올해 6월 말 기업대출 규모는 742조원으로 6개월 만에 31조6000억원(4.5%) 증가했다.
이렇게 대출이 증가하면서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은 상반기 14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 늘었다. 당국이 월별 예대마진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를 공시하고 금리 인상을 억제하는 등의 규제를 강화했지만 이자이익 증가세는 더 확대되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국내 은행의 순이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총 순이익은 18조5000억원이다. 올해 국내 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매 분기 7조원씩 달성된 상황이다. 이 같은 순이익 증가세를 유지하면 3분기에 지난해 총 순이익을 뛰어넘는 것은 물론, 연말에는 27조원을 돌파할 수도 있을 전망이다.
갈수록 커지는 이자비용, 연체율도 우려 높아
국내 은행의 호실적이 예고되고 있지만 업계에선 이자비용 확대와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추가 적립 등 리스크가 예전보다 더 커졌다고 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올 상반기 이자비용은 총 42조3000억원이다. 이미 지난해 총 이자비용인 43조원을 넘어섰다.
업계에서는 연말로 갈수록 이자비용이 급격히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은행으로 유입된 월별 정기예금 추이를 보면 ▲7월 31조7000억원 ▲8월 21조2000억원 ▲9월 32조5000억원 ▲10월 56조2000억원 ▲11월 27조7000억원 ▲12월 -15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에 몰려든 정기예금 잔액은 총 154조2000억원으로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자금이 몰려든 이유는 지난해 연말로 갈수록 은행들이 연 5%에 달하는 정기예금 상품을 내놨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여전히 대출 금리가 높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6월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5%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0.20%에 머물렀다.
특히 올 6월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51%, 개인사업자대출은 0.41%로 가계대출(0.33%)보다 높았다.
금융권에선 2020년 4월부터 시작된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에 대한 상환유예 제도’가 오는 9월 말 종료되면서 연체율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분석한다. 이로 인해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경우 그만큼 순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으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된 코로나 지원금은 총 76조2000억원, 대출자는 35만1000명이다. 순차적으로 대출 만기가 돌아오면 은행 부실 채권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에는 정기예금과 대출 금리가 모두 오르면서 은행에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이자이익이 증가했지만 비용이 더 빠르게 늘고 있어 수익성은 오히려 떨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내 은행 상반기 순이익 14.1조원
금융권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총 14조1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조2000억원(42.4%) 증가했다.
산업은행이 한화오션 관련 거액 충당금을 환입하는 등 비경상적 요인으로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다만 이를 제하고도 국내 은행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조9000억원(20.9%) 확대됐다. 업권별 순이익 증가율을 보면 ▲지방은행 10.5% ▲시중은행 12.4% ▲특수은행 110.4% ▲인터넷은행 277.2%를 기록했다.
은행의 호실적 배경에는 가계·기업대출 증가가 자리한다. 고금리 상황에서도 가계는 ‘내 집 마련’과 ‘부동산 투자’를 위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에 나섰고, 기업들은 경기 악화 속 추가 대출을 받으면서 은행의 대출 자산을 키우는 중이다.
한국은행이 8월 22일 발표한 ‘2023년 2/4분기 가계신용(잠정)’ 자료에 따르면 2분기 가계대출은 전 분기보다 10조100억원 증가한 1748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주담대는 14조1000억 확대된 1031조2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분기별 주담대 증가액을 보면 ▲지난해 4분기 4조7000억원 ▲올해 1분기 4조5000억원 ▲2분기 14조1000억원이다. 이는 부동산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으로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올해 2분기에 15만5000호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9만1000호 대비 크게 높아진 수치다.
기업대출 증가세도 가파르다. KB국민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올해 6월 말 기업대출 규모는 742조원으로 6개월 만에 31조6000억원(4.5%) 증가했다.
이렇게 대출이 증가하면서 국내 은행의 이자이익은 상반기 14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 늘었다. 당국이 월별 예대마진차(예금과 대출 금리 차)를 공시하고 금리 인상을 억제하는 등의 규제를 강화했지만 이자이익 증가세는 더 확대되는 모습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국내 은행의 순이익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국내 은행의 총 순이익은 18조5000억원이다. 올해 국내 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매 분기 7조원씩 달성된 상황이다. 이 같은 순이익 증가세를 유지하면 3분기에 지난해 총 순이익을 뛰어넘는 것은 물론, 연말에는 27조원을 돌파할 수도 있을 전망이다.
갈수록 커지는 이자비용, 연체율도 우려 높아
국내 은행의 호실적이 예고되고 있지만 업계에선 이자비용 확대와 연체율 상승에 따른 충당금 추가 적립 등 리스크가 예전보다 더 커졌다고 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의 올 상반기 이자비용은 총 42조3000억원이다. 이미 지난해 총 이자비용인 43조원을 넘어섰다.
업계에서는 연말로 갈수록 이자비용이 급격히 커질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은행으로 유입된 월별 정기예금 추이를 보면 ▲7월 31조7000억원 ▲8월 21조2000억원 ▲9월 32조5000억원 ▲10월 56조2000억원 ▲11월 27조7000억원 ▲12월 -15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하반기에 몰려든 정기예금 잔액은 총 154조2000억원으로 반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자금이 몰려든 이유는 지난해 연말로 갈수록 은행들이 연 5%에 달하는 정기예금 상품을 내놨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여전히 대출 금리가 높아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 6월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5%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0.20%에 머물렀다.
특히 올 6월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51%, 개인사업자대출은 0.41%로 가계대출(0.33%)보다 높았다.
금융권에선 2020년 4월부터 시작된 ‘대출 만기연장 및 원금·이자에 대한 상환유예 제도’가 오는 9월 말 종료되면서 연체율이 계속 높아질 것으로 분석한다. 이로 인해 충당금을 추가 적립할 경우 그만큼 순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으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된 코로나 지원금은 총 76조2000억원, 대출자는 35만1000명이다. 순차적으로 대출 만기가 돌아오면 은행 부실 채권도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에는 정기예금과 대출 금리가 모두 오르면서 은행에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이자이익이 증가했지만 비용이 더 빠르게 늘고 있어 수익성은 오히려 떨어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부동산 PF 자기자본 현행 3%서 20%로 높인다
2'김가네' 회장, 성범죄 이어 횡령 혐의로 경찰 수사
3'이것'하면 돈 날린다...전문의도 비추하는 '건강검진' 항목은?
4나라살림 이대로 괜찮아?...연간 적자 91조 넘었다
5"노사 화합의 계기"...삼성전자 노사, 임협 잠정합의안 마련
6프라우드넷, 네이버클라우드와 솔루션 사업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 체결
7SOOP, 지스타 2024에서 ‘SOOP AI’ 신기술 공개
8"목 빠지게 기다린다"...美 유력지, 아이오닉9·EV9 GT 콕 집었다
9검찰, ‘SG사태’ 라덕연 대표에 징역 40년·벌금 2.3조 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