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일반
“청약·대출 불리해요”…‘내 집 마련’에 혼인신고 미루는 신혼부부
- 주택 자금 대출 기준 미혼·기혼 차이 없어
“대부분 ‘내 집 마련’까지 혼인신고 미뤄”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등록된 혼인 건수는 19만2000건이다.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70년대 이래 역대 최저 수준이다. 하지만 혼인신고만 하지 않은 신혼부부가 많아 실제 결혼한 부부는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부부가 혼인신고를 하지 않는 것은 대출과 청약에서 불리한 입지를 차지할 것이란 우려에서다. 미혼 청년을 대상으로 출시된 대출 상품이 많아 주택을 마련할 때까지 미혼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금리가 낮은 상품으로 잘 알려진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미혼 청년에게는 연간 소득 5000만원 이하일 경우 연 1~2%대 낮은 금리로 대출을 제공한다. 하지만 부부라면 합산 연간 소득이 5000만원(신혼 6000만원)을 초과할 경우 대출을 받을 수 없다. 저소득인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한 디딤돌 대출도 신혼부부와 30세 이상 미혼 1인 가구는 연간 소득 7000만원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주택 청약도 부부 모두 일한다면 소득을 합했을 때 불리한 조건이 되는 경우가 많다.
신혼부부에게 제공하는 혜택을 최대로 받기 위해 시기를 따져 혼인신고를 하려는 신혼부부도 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특공)이나 행복주택 등은 결혼한 지 7년 이내인 신혼부부가 대상이기 때문이다. 신혼부부들이 최근 주택을 마련할 자금이 충분히 마련됐고 청약 가점도 받을 수 있을 때까지 혼인신고를 늦추는 이유다.
지난해 결혼한 최모씨는 “언제 주택을 마련할지 몰라 혼인신고는 하지 않았다”며 “대출이나 청약 등에서 적절한 시기를 맞춘다면 주택을 마련할 확률이 더 높아지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결혼한 지 3년째인 김모씨도 “결혼했다고 바로 혼인신고부터 하는 경우는 주변에서도 보지 못했다”며 “아이가 태어나기 전에 집을 마련하는 게 목표이고 집만 마련하면 바로 혼인신고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 “‘국가폭력 범죄 공소시효 배제법’ 국회 통과 시 즉각 사인할 것”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故 오요안나 가해자 지목 기캐, 끝내 결말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바람 불면 날릴 정도” 삼성, 업계 최고 수준 OLED 내놨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롯데카드부터 애경산업까지…내달 M&A 큰장 선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에서 AI 첨단산업소재 업체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