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예능 한 편에 음원 100개, 저작권 복잡…CJ ENM “AI로 해결”
- AI 음원 생성 플랫폼 도입해 콘텐츠 제작 효율↑
AI 개발사 포자랩스 개발…2024년 초 정식 출시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CJ ENM이 음원 사용의 효율성을 높여 콘텐츠 제작 기간을 단축한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5분이면 영상에 활용할 수 있는 음원이 나온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음원 저작권 해결 과정이 복잡해 콘텐츠 제작 업무 효율이 낮아진다는 점을 해결하겠단 취지다. 예능과 같은 콘텐츠 한 편에는 배경 음악과 효과음까지 합치면 음원 약 100개가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J ENM은 AI 음원 제공 서비스 ‘비오디오(VIODIO): CJ ENM 에어(Air)’를 개설했다고 10일 밝혔다. 콘텐츠 제작에 필수적인 음원을 AI로 제작·활용하는 서비스다.
회사 측은 “콘텐츠 한 편당 약 100개의 음원을 수급하기 위해 드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작권 이슈도 없어 콘텐츠의 글로벌 유통 경쟁력이 확대될 전망”이라며 “올해 연말까지 베타(시험) 서비스를 진행하면서 제작진의 의견 반영 및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내년 초 정식 버전을 오픈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AI 음원 제공 서비스 ‘비오디오(VIODIO): CJ ENM 에어(Air)’는 AI 기술 기업 포자랩스가 개발한 플랫폼이다. CJ ENM은 지난해 포자랩스에 투자해 2대 주주에 오른 바 있다.
해당 플랫폼을 활용하면 5분 내 완성도 높은 음원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제작진이 직접 음원을 창작하거나 편곡도 가능하다. 분위기·테마·장르 등을 키워드를 입력하면 AI가 만든 음원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도 갖췄다. AI 음원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다. 제작자가 언제든 들어보고 다시 이용할 수 있다.
CJ ENM은 AI 음원을 시작으로 기획·제작·유통 등 콘텐츠 제작 전반에 AI를 도입할 방침이다. 지식재산권(IP)을 발굴하는 콘텐츠 기획 개발부터 ▲컴퓨터그래픽(CG) ▲자막 ▲배경 등을 생성·고도화해주는 촬영 및 편집 과정에도 AI를 접목한다. 또 국가·플랫폼 별 최적화된 채널 추천이나 사용자 트래픽 예측 등 유통·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AI를 활용할 계획이다. CJ ENM은 지난 8월 ‘AI사업추진팀’을 신설해 AI 관련 신사업을 발굴하고 기술 기업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CJ ENM 관계자는 “AI음원 활용 시 제작진의 창작 자율성이 높아져 차별화된 제작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콘텐츠 제작 효율성을 높이고 양질의 콘텐츠를 확보하기 위해 제작 프로세스 전반에 AI 기술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월 30만원이 3000만원으로”…투자 권유 李대통령 '가짜 영상' 확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김제동 근황 공개 “나 무시하냐” 발끈..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정부 합동대응팀 캄보디아 급파…李대통령 "모든 방안 강구하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MBK 국감 소환에 'PEF 긴장'…정책 리스크, 새 변수로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의료AI 다크호스]"업무 효율·수익 동시에 UP"…와이즈AI, 성장 날갯짓⑤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