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통3사, 개인정보 유출 심각…10건 중 8건은 LG유플러스

이통3사, 5년 간 개인정보 43만건 유출
LG유플러스, 35만3167건 차지…과징금도 최다

이동통신 3사 로고.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건엄 기자]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지난 5년 간 43만건이 넘는 개인정보를 유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LG유플러스의 개인정보 유출 건수가 전체 중 8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10월까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는 43만6415건이다. 이 가운데 LG유플러스가 전체의 80.9%에 해당하는 35만3167건을 유출했다. KT는 8만3247건, SK텔레콤은 1건이었다.

올해 초 LG유플러스는 해커의 공격을 받아 불법거래 사이트에 고객 개인정보 약 60만건을 유출한 바 있다.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분석한 결과 유출이 확인된 개인정보는 중복 제거 시 총 29만7117건이다. 유출 항목은 휴대전화번호·성명·주소·생년월일·이메일 주소·아이디·USIM고유번호 등 26개 항목이었다.

개인정보위로부터 개인정보 유출과 보호조치 위반 등을 이유로 부과받은 과징금·과태료 액수도 LG유플러스가 68억96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T 5660만원, SK텔레콤 460만원 등이다. 이 기간 처분 건수 역시 LG 유플러스 8건, KT 3건, SK텔레콤 2건 등이다.

정 의원은 “다량의 개인정보를 수집·처리하는 통신사에서 고객 개인정보 유출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피해자는 기업이 아닌 국민이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위가 솜방망이 처벌이 아닌 합당한 제재 처분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hy,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미국 H마트 입점

2라이엇 게임즈, 7번째 국외소재 문화유산 ‘경복궁 선원전 편액’ 환수 성공

3로레알, 사노피 지분 4조5000억원 처분

4“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5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14일 코스닥 상장

6尹, 20일 첫 형사재판...‘출석 여부’는 미지수

7외국인 떠난 삼성전자, ‘5만 전자’ 위태…목표가 ‘줄하향’ 무슨 일

8"2심도 전부 무죄"... '사법 리스크' 벗은 이재용, 2심 쟁점 무엇이었나

9한국 매출 늘었는데...코스트코, 연회비 최대 15% 올린다

실시간 뉴스

1hy,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윌’ 미국 H마트 입점

2라이엇 게임즈, 7번째 국외소재 문화유산 ‘경복궁 선원전 편액’ 환수 성공

3로레알, 사노피 지분 4조5000억원 처분

4“중국산 AI 꼼짝 마”…챗GPT, 딥시크 3배 정확도 ‘딥 리서치’ 출시

5오름테라퓨틱, 공모가 2만원 확정...14일 코스닥 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