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통3사, 개인정보 유출 심각…10건 중 8건은 LG유플러스

이통3사, 5년 간 개인정보 43만건 유출
LG유플러스, 35만3167건 차지…과징금도 최다

이동통신 3사 로고.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건엄 기자]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지난 5년 간 43만건이 넘는 개인정보를 유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LG유플러스의 개인정보 유출 건수가 전체 중 8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더불어민주당 정필모 의원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10월까지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에서 유출된 개인정보는 43만6415건이다. 이 가운데 LG유플러스가 전체의 80.9%에 해당하는 35만3167건을 유출했다. KT는 8만3247건, SK텔레콤은 1건이었다.

올해 초 LG유플러스는 해커의 공격을 받아 불법거래 사이트에 고객 개인정보 약 60만건을 유출한 바 있다. 개인정보위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분석한 결과 유출이 확인된 개인정보는 중복 제거 시 총 29만7117건이다. 유출 항목은 휴대전화번호·성명·주소·생년월일·이메일 주소·아이디·USIM고유번호 등 26개 항목이었다.

개인정보위로부터 개인정보 유출과 보호조치 위반 등을 이유로 부과받은 과징금·과태료 액수도 LG유플러스가 68억96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T 5660만원, SK텔레콤 460만원 등이다. 이 기간 처분 건수 역시 LG 유플러스 8건, KT 3건, SK텔레콤 2건 등이다.

정 의원은 “다량의 개인정보를 수집·처리하는 통신사에서 고객 개인정보 유출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피해자는 기업이 아닌 국민이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위가 솜방망이 처벌이 아닌 합당한 제재 처분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2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3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4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5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6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7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8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9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실시간 뉴스

1‘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2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3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4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5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