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세금 걱정 덜었네…'文정부 공시가 현실화' 사실상 폐기[부동산쩐람회]

내년 공시가 현실화율 69% 동결
내년 1월 연구 용역 후 하반기 근본적 개편방안 제시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부동산 시장이 요동치고 있지만 내 집 마련을 꿈꾸거나 자산 증식을 원하는 이들은 시장의 분위기와 상관없이 늘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한 주 간의 부동산 정책부터 중요한 핫이슈까지 복잡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 박지윤 기자] 정부가 내년 부동산 공시가격의 시세 반영률을 뜻하는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올해와 같은 69%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문재인 정권 시절 추진했던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사실상 폐기하고 내년에 새로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시가격은 정부가 건강보험료, 보유세, 기초연금 등 67개 행정제도의 지표로,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부동산에 매기는 평가 가격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에 2023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2020년 수준으로 되돌렸기 때문에 내년에도 3년 전 수준을 그대로 유지할 전망이다.

내년 공동주택에는 평균 69%의 현실화율을 적용한다. 기존 현실화 계획과 비교하면 6.6%포인트(p) 낮은 수준이다. 단독주택과 토지는 각각 10%p, 12.3%p 낮은 53.6%, 65.5%로 정했다.

정부는 2020년 문 정부 시절에 수립한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계획이다. 기존 현실화 계획을 수정‧보완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보고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연구 용역을 내년 1월 실시한다. 내년 하반기에 근본적인 개편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문 정부 시절 빠르게 공시가격 현실화율 인상을 추진하면서 부동산 시장 변동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부동산 하락기에는 공시가격이 시세보다 높아질 수 있는데 급격한 시장 변동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또 9억원 이상 고가주택과 토지에는 빠른 시세 반영을, 9억원 미만의 저가 주택에는 균형성 제고를 우선하면서 공시가의 공정성 문제가 거론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지난해 9억원 미만 주택의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69.4%, 9억∼15억원은 75.1%, 15억원 이상은 81.2%를 기록했다. 15억원 이상 주택과 9억원 미만 주택 간 요율은 11.8%p의 차이가 발생했다. 2020년 7.2%p 수준이었던 간극은 더 벌어졌다.

이로인해 3년 동안 국민 재산세와 종부세 부담은 4조7000억원 가량 늘어났다. 주택분 재산세는 2019년 5조1000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6조7000억원으로 증가했다. 주택분 종합부동산세도 2019년 1조원에서 지난해 4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위기의 세븐일레븐, 차세대 점포로 탈출구 찾을까

2불닭볶음면, 이제 中에서도 생산...삼양식품, '해외 첫 공장' 짓는다

3이창용 "탄핵 여파로 소비 심리 위축...빠른 추경 필요"

4'햄버거집 계엄 모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구속영장 발부

5장례식 '부의금 액수' 정답 있을까..."5만원이면 충분"

6日혼다·닛산 합병 논의...세계 3위 車 도약하나

7美 재계 대변하는 상의, 韓 플랫폼법 재차 반대...왜?

8'1기 신도시 재건축' 예정대로..."분당·평촌에 7700가구 공급"

9안양 최초 '국평 15억' 아파트, 무더기 미분양 발생...내년 2월 입주 앞둬

실시간 뉴스

1위기의 세븐일레븐, 차세대 점포로 탈출구 찾을까

2불닭볶음면, 이제 中에서도 생산...삼양식품, '해외 첫 공장' 짓는다

3이창용 "탄핵 여파로 소비 심리 위축...빠른 추경 필요"

4'햄버거집 계엄 모의'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구속영장 발부

5장례식 '부의금 액수' 정답 있을까..."5만원이면 충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