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1번가, 결국 강제 매각?…SK스퀘어 주도 매각과 차이점은

SK스퀘어→FI로 매각 권한 넘어갔지만
원매자 찾기 난항 예상…큐텐·알리 ‘고사’
기업가치 하락…IPO기한연장도 실익 낮아

11번가 최대주주 SK스퀘어는 재무적투자자(FI)들이 보유한 지분에 콜옵션 미행사를 결정하면서 강제 매각 수순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 11번가]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허지은 기자] 11번가가 강제 매각 수순에 돌입한다. 최대주주 SK스퀘어(402340)가 재무적투자자(FI)들이 보유한 지분 18.18%에 대해 콜옵션(우선매수청구권)을 행사하지 않기로 하면서다. 

사실 11번가의 매각설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들려오던 얘기다.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싱가포르 기반 이커머스 업체 큐텐(Qoo10)이 11번가 인수를 위해 실사를 이어오기도 했다. 그 이전엔 알리익스프레스, 아마존 등에 매각될 수 있다는 설이 무성했다. 그럼에도 이번 11번가 매각설에 ‘강제’가 붙는 이유는 SK그룹의 의지와 상관없이, 원치 않는 가격으로 매각될 수 있는 상황에 처했기 때문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SK스퀘어는 전날 이사회를 열고 사모펀드(PEF) 운용사 H&Q코리아가 보유한 11번가 지분 18.18%을 되사오는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기로 의결했다. H&Q코리아는 드래그얼롱(동반매도청구권)을 활용해 11번가 매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앞서 SK스퀘어는 2018년 9월 국민연금과 새마을금고, H&Q코리아로 구성된 나일홀딩스 컨소시엄으로부터 11번가에 대한 50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하면서 5년내 상장을 약속했다. 투자 당시 11번가가 인정받은 기업가치는 2조7000억원이었다. SK스퀘어는 FI들에게 5년 내 11번가 상장을 마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올해 9월까지였던 상장 기한이 종료되면서 콜옵션 행사 시점이 도래했다. 5년의 기간동안 11번가는 상장에 여러번 도전했지만 매번 고배를 마셨다. 2021년 사내 ‘IPO 추진팀’을 신설하고, 지난해까지만 해도 올해 상장을 목표로 한국투자증권, 골드만삭스 등을 주관사로 선정했지만 1조원대로 급감한 기업가치가 발목을 잡았다. 

만약 콜옵션을 행사한다면 SK스퀘어는 원금 5000억원에 연 3.7%의 이자를 붙여 FI 지분을 다시 사줘야 했다. SK스퀘어가 보유한 현금성 자산이 5616억원 수준이지만, 이를 다 소진하면서 지분을 사들이기엔 실익이 없다고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SK스퀘어의 콜옵션 권한은 오는 12월 4일 만료된다. 

11번가 매각 권한을 넘겨받은 FI의 선택지는 크게 두 가지다. SK스퀘어 지분을 끌어와 11번가 지분 100%를 매각하거나, 기존 IPO 약정 기한을 연장하는 방식이다. 다만 FI 주도의 매각도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원매자 찾기가 쉽지 않아서다. 당초 SK스퀘어 역시 큐텐과 실사까지 진행하며 매각을 논의했지만 기업가치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최종 결렬된 바 있다. 당시 큐텐은 11번가 기업가치를 1조원대 초반으로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만료된 IPO 기한을 연장하기엔 바닥까지 떨어진 이커머스 플랫폼 가치가 언제 반등할지 미지수다. 11번가가 5년간 상장 문턱을 넘지 못하는 동안 컬리, 오아시스마켓, SSG닷컴 등 경쟁사들도 기업가치 반등에 실패하면서 상장을 잠정 중단한 상태다. 

결국 FI들이 원금 회수를 위해 앞서 큐텐과의 협상 과정에서 나온 1조원의 기업가치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각을 진행할 가능성이 커졌다. 드래그얼롱이 행사될 경우 FI는 우선적으로 투자 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조항(워터폴)이 있기 때문이다. FI 입장에선 6000억원에 매각하더라도 투자 원금 회수는 가능해진다. 이 경우 SK스퀘어는 11번가에서 자금을 한 푼도 건지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선 11번가가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실시 중인 점도 매각 전 몸값 낮추기에 나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11번가는 오는 12월 8일까지 만 35세 이상·5년차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다. 희망퇴직 확정자는 4개월치 급여를 받는다. 11번가 측은 “11번가 이후 새로운 커리어를 고민, 준비하는 이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대내외 치열한 이커머스 상황에서 효율적인 조직 구성을 위해 단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현대차 월드랠리팀. ‘2024 WRC’ 드라이버 부문 첫 우승

2'10만 달러' 비트코인이 33만개...하루 7000억 수익 '잭팟'

3이스타항공 누적 탑승객 600만명↑...LCC 중 최단 기록

4북한군 500명 사망...우크라 매체 '러시아 쿠르스크, 스톰섀도 미사일 공격'

5“쿠팡의 폭주 멈춰야”...서울 도심서 택배노동자 집회

6다시 만난 ‘정의선·도요타 아키오’...日 WRC 현장서 대면

7 신원식 “트럼프, 尹대통령에 취임 전 만나자고 3~4차례 말해”

8‘서울의 아침’ 여는 자율주행버스...26일부터 운행

9‘제조업 자동화’ 가늠자 ‘로봇 밀도’...세계 1위는 韓

실시간 뉴스

1현대차 월드랠리팀. ‘2024 WRC’ 드라이버 부문 첫 우승

2'10만 달러' 비트코인이 33만개...하루 7000억 수익 '잭팟'

3이스타항공 누적 탑승객 600만명↑...LCC 중 최단 기록

4북한군 500명 사망...우크라 매체 '러시아 쿠르스크, 스톰섀도 미사일 공격'

5“쿠팡의 폭주 멈춰야”...서울 도심서 택배노동자 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