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치킨 2만원 시대 bhc 가격 인상에 소비자 단체 '뿔'…“가맹점 이중부담”
- bhc, 85개 제품 가격 최대 3000원 인상
"연평균 영업이익률 30.1%…다른 브랜드 대비 유난히 높아"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치킨 프랜차이즈 bhc가 지난달 말 85개 제품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한 데 대해 3일 유감을 표했다.
협의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원가 부담 때문에 가격을 인상했다는 bhc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며 연평균 영업이익률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협의회는 “bhc의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영업이익률은 30.1%로 다른 브랜드와 업종 대비 유난히 높다”며 “2018년 대비 2022년의 매출원가 상승률은 5.7%이지만, 순이익률은 31.8%나 높아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bhc는 소비자가격 인상이 ‘가맹점 수익’을 위한 결정이라고 했으나 가맹점에 공급하는 원부자재 가격을 평균 8.8% 인상했다”며 “이는 가맹점에 원부자재 가격 인상과 매출 부담이라는 이중 부담을 주면서 본사 이익만 챙기려는 의심스러운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또 bhc를 포함해 교촌치킨, BBQ 등 3대 치킨 프랜차이즈의 프라이드치킨 가격이 2만원으로 동일하고, 대다수 메뉴 가격이 비슷하다며 ‘가격 경쟁’을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치킨 외식 물가는 전년과 비교해 2022년에 9.4%, 작년에 5.1% 각각 상승했고, 최근 소비자들은 ‘가성비 치킨’을 찾아 편의점과 대형마트를 찾는다고 강조했다.
협의회는 “bhc가 실제로 가맹점 수익을 위한다면 소비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가격을 인하하는 것이 더 합리적 결정”이라며 bhc에 가격 인상 철회를 촉구했다.
bhc는 지난달 29일 대표 메뉴인 뿌링클 가격을 1만8000원에서 2만1000원으로 올리는 등 권장 소비자 가격을 500원∼3000원 인상했다.
치킨 한 마리에 ‘2만원 시대’가 되자 편의점 GS25는 600g 순살치킨인 ‘쏜살치킨’ 가격을 1만3000원에서 1만1000원대로 낮췄다. 또한 세븐일레븐은 프라이드치킨 한 마리를 9000원에 판매하는 등 가성비 경쟁에 불을 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온코닉테라퓨틱스, ‘자큐보’ 물질특허 2040년까지 연장승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시후 가정파탄 의혹…문자 속 女 해명글?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전광훈 '자금줄' 의혹 선교카드…농협銀 "문제없다" 결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애경산업 이달 본입찰…‘큰손’ 태광산업에 쏠리는 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대규모 기술수출에도 주가 원점 바이오벤처들…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