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찾은 韓 CEO들의 ‘말말말’
- 삼성바이오부터 셀트리온까지, 저마다 내세운 청사진
신규 모달리티 확장·산업 생태계 활성화 등 방향 달라
바이오 기업 ‘기술이전’ 총력…하루 10여 건 이상 미팅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아데노연관바이러스(AAV)를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올해 말 항체-약물 중합체(ADC) 생산 공장을 가동할 것이라고 밝힌 상황에서, ADC 외 새로운 치료 접근 방법(모달리티)으로도 사업 영역을 넓힐 것이라는 구상을 밝힌 것이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국내외 제약 바이오 산업 생태계가 발전할 수 있도록 “100조원 규모의 헬스케어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했다. 셀트리온그룹의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를 상장시켜 5조원 정도를 확보하고, 기관투자자(LP)를 모아 나머지 자금을 끌어모으겠다는 구상이다. 서 회장은 현재 셀트리온홀딩스의 지분 98% 이상을 보유했는데, 이 펀드를 조성하기 위해 지분율을 60%가량으로 낮출 계획이다.

SK바이오팜은 올해를 뇌전증 치료제인 세노바메이트의 매출을 끌어올리는 한해로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년 동안 세노바메이트를 직접판매하기 위한 ‘망’을 구축하는 데 힘썼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미국 현지 유통망을 닦는 작업을 거의 마쳤다”며 “다른 기업, 특히 아시아 지역 내 기업으로부터 미국 공동 판매 제안도 받았다”고 했다. 공동 판매는 현지 유통망을 구축한 기업이 추진할 수 있는 사업이다. 이 사장은 “내년부터 공동 판매 관련 사업도 준비할 것”이라며 “좋은 제품만 들어온다면 언제든 사업을 시작하려 한다”고 했다.
리더십 재정비로 시끄러웠던 한미약품은 올해 신약 개발 역량을 본격화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한미약품의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는 최근 OCI그룹의 지주사인 OCI홀딩스와 합의해 두 그룹을 통합하기로 했다. 최인영 한미약품 연구개발(R&D)센터장은 “올해 글로벌 학회 등을 통해 여러 건의 신약 후보물질을 공개할 계획”이라며 “우선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새로운 후보물질과 관련한 발표를 4건 할 것”이라고 했다. 또, “한미약품은 인크레틴 호르몬을 15년 이상 연구한 기업”이라며 “비만 치료제 분야에서 R&D와 사업개발(BD) 역량은 이미 갖추고 있다”고 자신했다.
R&D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파이프라인을 정리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빅파마와 기술수출을 논의하는 데 시간을 쏟았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빅파마 10곳 중 5곳과 기술수출을 논의했다”며 “모두 ‘BBT-877’와 관련한 미팅”이라고 했다. BBT-877는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개발하고 있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이다. ‘오토택신’이라는 단백질을 억제해 폐의 섬유화를 막는다. 이 대표는 “통상 기술수출 논의 후 6개월 내 성과를 내왔다”며 “BBT-877도 올해 안에 기술수출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고영, 美신경외과학회서 뇌 수술용 의료로봇 ‘지니언트 크래니얼’ 첫 공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서유리 "혹시 누가 해코지할까 봐…" 무슨 사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또 물러섰다…車관세 완화 어떻게 달라지나[Q&A]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