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일반
자취 감춘 증권사 ‘1兆 클럽’...고금리·PF 직격탄에 “올해도 어렵다”
- 지난해 4분기 주요 증권사 7곳 영업이익 7414억원 예상
직전 3분기 보다 37.2% ↓
메리츠증권도 8000억원대로 털썩

19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 7곳(한국금융지주·삼성증권·메리츠증권·NH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키움증권·대신증권) 가운데 지난해 영업이익 추정치가 1조원이 넘는 증권사는 한 곳도 없었다. 증권사 7곳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 합산은 총 741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4분기(5086억원)보다는 45.8% 늘어난 수준이다. 하지만 1조를 넘어섰던 직전 분기인 지난해 3분기(1조1812억원)보다는 37.2% 줄어든 규모다.
한국금융지주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 추정치가 1720억원으로 집계돼 직전 분기보다 20% 가량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금융지주는 한국투자증권의 모회사다. 주력 계열사인 증권 수익 비중이 절반 이상에서 80%까지 차지한다. 삼성증권 역시 9000억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달성했으나 직전 분기 대비 20% 이상 영업익이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22년 유일하게 ‘1조 클럽’에 가입했던 메리츠증권도 부동산 PF 부진 등의 여파로 영업이익 추정치가 8000억원대로 주저앉았다.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은 7000억원대에 그쳤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흐름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거란 관측이 나온다. 증권사 투자은행(IB) 부문의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은 여전히 부동산금융 시장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중소형사는 국내 부동산 PF에 대한 손실 부담이, 대형사는 해외 부동산 투자에 따른 손실 부담이 손익과 재무구조에 악재가 될 전망이다.
한신평 관계자는 “향후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하는 등 금융시장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하지 않는 한 투자중개 부문 실적에 유의미한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며 “금리로 인해 개인투자자의 투자심리가 위축되면 증권사의 수수료 수익 확보도 무리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가평·산청·서산·예산·담양·합천 특별재난지역 선포(상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90억 연봉’ 윤석민 “갑질 당하고 싶다”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韓 극단적 상황, 지역 대부분 소멸할 것" 日 석학의 경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KBI국인산업, 라온저축은행 인수 순항…PF는 여전히 ‘뇌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美 짐머가 판 깔았다'…오스테오닉 '스포츠메디신', 작년 52억, 올해는 155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