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절벽에 공인중개사 생계 위협…폐·휴업 1만6000곳 육박
“권리금 못받아 폐업 대신 휴업하기도”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거래 절벽이 심화하며 약 1만6000개의 공인중개사무소가 문을 닫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이래 가장 많은 숫자다.
23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공인중개사무소는 1만4379곳, 휴업한 공인중개사무소는 1438곳이다. 총 1만5817개 공인중개사무소가 문을 닫은 셈이다.
매일 공인중개사무소 43곳이 아예 사업을 접거나 잠시 중단했다는 의미다. 같은 기간 1만2223곳이 개업했지만. 개업보다 폐·휴업한 업체 수가 3594곳 더 많다.
이에 따라 개업 공인중개사무소는 2022년 12월 11만7583곳에서 지난해 12월 11만5063곳으로 줄었다. 폐·휴업은 2019년(1만6749곳) 이래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이는 2020년은 1만3860곳, 2021년은 1만2569곳, 2022년은 1만3217곳이 각각 문을 닫았다.
이처럼 공인중개업소 폐·휴업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시장 침체와 이에 따른 거래 감소가 주원인으로 꼽힌다.
한국부동산원의 주택 매매거래 현황을 보면 2021년 101만5171건이던 매매 건수는 2022년 50만8790건으로 반토막 났다. 지난해 1∼11월은 51만7378건으로 전년보다는 다소 늘어난 모양새지만, 매매 건수가 100만건이 넘었던 2020∼2021년에 비하면 여전히 적은 편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다이슨코리아, 헤어 디바이스 부문 공식 앰배서더로 장원영 선정
2 ‘보수 잠룡 선두’ 김문수 오늘 장관직 사퇴...대선 출마키로
3원/달러 환율, 관세전쟁 격화 우려에 1,470원대 위협
4AI 핀테크 혜움, 105억 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5GS네오텍 “AI 도입 이제 실전”…기업 AI 도입 실무 전략 제시
6트럼프 관세 일시 정지? 정면 반박…"중국엔 추가 관세를"
7트럼프 "상호관세 발효 유예 고려하지 않는다"
8유사나, ‘피지 에너지 드링크 시트러스 베리맛’ 출시, 일상에 건강한 에너지와 활력 지원
9뉴욕증시, 美 관세정책 불확실성에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만 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