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루나’ 자금 흐름 밝힐까…권도형 측근 한창준 구속심사
‘테라ㆍ루나 사태’ 한창준 테라폼랩스 CFO 국내 송환
테라 알고리즘 속여 536억원 이상 부당이익 취한 혐의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테라·루나’ 폭락 사태의 핵심 인물 권도형(32) 테라폼랩스 대표와 함께 도피했다가 국내로 송환된 한창준(37) 테라폼랩스 최고재무책임자(CFO)가 8일 법원의 구속심사에 출석했다.
김지숙 서울남부지법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등 혐의를 받는 한 씨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열고 구속 필요성을 심리했다.
한 씨는 테라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처럼 속여 루나 코인을 판매·거래해 최소 536억원의 부당이익을 취한 혐의를 받는다.
테라 측은 테라 코인이 알고리즘에 따라 가격이 고정되는 ‘스테이블 코인’(가치안정화 코인)이자 현실 전자상거래 업체에서도 수요 확보가 가능하다고 홍보했다.
하지만 검찰은 “블록체인 지급결제 서비스는 금융규제상 허용될 수 없어 애초부터 실현 불가능한데도 피의자가 공범들과 함께 블록체인 기반을 가장한 지급결제 사업인 테라 프로젝트가 정상 작동하는 것처럼 루나 코인을 판매·거래해 536억원 이상의 부당이익을 취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증권신고서 제출 없이 루나 코인을 판매하는 등 증권의 모집·매출행위를 했고 차이페이 고객의 전자금융 결제정보 약 1억건을 동의 없이 테라 블록체인에 기록해 무단 유출했다”고 덧붙였다.
테라폼랩스의 창립 멤버인 한 씨는 2018년부터 테라폼랩스의 CFO를 맡아 테라·루나 코인의 설계와 자금 흐름을 밝힐 ‘키맨’으로 꼽힌다. 한 씨는 간편결제 서비스 운영사 차이코퍼레이션의 대표도 지냈다.
앞서 테라·루나 폭락 직전인 2022년 4월 권 씨와 한국을 떠나 도피한 한 씨는 지난해 3월 몬테네그로에서 위조 여권을 사용하려다 현지 경찰에 체포됐다. 법무부는 이들에 대한 범죄인 인도를 청구한 뒤 몬테네그로 당국과 협의해 한 씨의 신병을 인도받아 지난 6일 송환했다.
한편 권 씨는 범죄인 인도를 승인한 몬테네그로 법원 결정에 불복해 항소한 상태다. 현지 법원이 송환 결정을 유지하면 밀로비치 몬테네그로 법무부 장관이 권 씨의 송환지를 결정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물산, 에스토니아 SMR 사업 협력…유럽 원전시장 공략 가속화
2카오게임즈, 신작 모바일 액션 RPG ‘가디스오더’ 신규 키 비주얼 공개
3애플의 무리수? AI 비판 봇물 "시리, 내년은 돼야…"
4중견 건설사 이화공영, 기업회생 신청…‘상장폐지 예고’ 무슨일
5인도 출신 엔지니어 영입해 부족한 개발자 문제 해결한다
6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쉬워진다
7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다...식료품·주거비 특히 부담
8300만명 몰리는 여의도 벚꽃축제…尹탄핵심판 선고에 일정 연기
9서울경찰청, 통신사와 공조해 보이스피싱 막았다...첫 현장 사례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