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한미일 정부 나서 ‘키옥시아-WD’ 합병 압박?…SK하이닉스 “사실무근”
-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WD) 합병 논의 재개…SK하이닉스에 쏠린 눈
‘키옥시아 대주주’ SK하이닉스 입장에 달린 합병 여부…시장 소문 확산
한미일 정부 인사 ‘설득’에도 반대 입장 고수?…SK하닉 “잘못된 내용”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SK하이닉스가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WD) 합병’에 한국 정부 등이 나서 설득했다는 풍문에 전면 부인한다는 입장을 4일 내놨다.
일본 낸드플래시 생산 기업 키옥시아(옛 도시바메모리)와 미국 스토리지 솔루션 공급기업 웨스턴디지털은 반도체 부문 경영통합 협상을 진행하다 지난해 10월 무산된 바 있다. 키옥시아의 주요 주주인 SK하이닉스가 통합을 반대하는 입장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키옥시아 최대 주주는 베인캐피털 등이 참여한 한미일 연합 컨소시엄이다. SK하이닉스는 2018년 이 컨소시엄에 약 4조원을 투자한 바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지난 2월 23일 키옥시아와 웨스턴디지털의 중단된 반도체 부문 경영통합 협상을 이르면 올 4월 재개한다고 보도했다. 이 과정에서 베인캐피털 관계자를 인용해 ▲니시무라 야스토시 당시 일본 경제산업상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 ▲한국 정부 등이 지난 협상 과정에서 통합 반대를 내세운 SK하이닉스 측을 설득한 바 있다고 했다. 설득이 통하지 않은 SK하이닉스가 찬성하지 않으면서 경영통합 협상이 무산된 바 있단 분석이다.
SK하이닉스 측은 이런 보도에 대해 참고 자료를 배포하고 “사실이 아님을 알려 드린다”고 밝혔다. 또 “SK하이닉스는 한국 정부의 압박이나 설득을 받은 적이 전혀 없다”며 “잘못된 내용으로 인해 국내에서 인용 보도가 이어지고 있어 사실관계를 바로잡는다”고 했다.
SK하이닉스가 연합 컨소시엄을 통해 키옥시아에 약 4조원을 간접 투자한 금액 중 의결권이 있는 전환사채 1조3000억원이 포함돼 있다. 이에 따른 SK하이닉스의 키옥시아 의결권 지분율은 15% 정도다.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반도체 부문 경영통합은 SK하이닉스 ‘승인’ 없이는 불가능한 구조인 셈이다.
SK하이닉스로선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반도체 부문 경영통합은 달갑지 않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세계 낸드플래시 점유율은 SK하이닉스 및 자회사 솔리다임이 20.2%로, 삼성전자(31.4%)에 이어 2위다. 웨스턴디지털은 16.9%로 3위, 키옥시아는 14.5%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키옥시아와 웨스턴디지털이 합병한다면 SK하이닉스 점유율보다 높은 수준으로 올라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지난달 19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정기총회 후 취재진을 만나 “(합병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에 변화는 없다”며 “우리가 투자자 입장에서 자산 가치를 보호할 의무가 있다는 측면에서 그대로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다만 “협력에 대해서는 언제든 오픈돼 있다”며 “우리와 키옥시아 간 윈-윈(Win-Win)을 위해 협력할 좋은 방안이 있다면 언제든 고민해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김계리 "안녕 못한 거 알잖아"...尹은 "계단 오르기도 힘들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이데일리
'소시 태연 아냐' 김태연 측 "강한 유감" 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트럼프 “파월 사임 환영…금리 인하하면 부동산 폭발할것”(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실체는 그게 아닌데"…모회사 뒷배 반영, 투자판단 흐린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글 픽’ 멧세라, 디앤디파마텍 통해 경구용 비만약 강자로 도약할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