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산시즌 '상장폐지 주의보'…태영건설 등 상장사 55곳, 증시 퇴출 위기
거래소, 지난해 결산 법인 시장 조치 현황 발표
코스피 13곳, 코스닥 42곳 상장폐지 사유 발생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해 결산법인 결산 관련 시장조치 결과 코스피 13개사, 코스닥 42개사에서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9일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의 2023사업연도 12월 결산법인 관련 시장조치 현황을 발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폐지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총 13개사다. 이 중 최초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은 기업은 태영건설, 카프로, 이아이디, 국보, 한창, 대유플러스, 웰바이오텍 등 7개사다. 아이에이치큐(IHQ), KH 필룩스, 인바이오젠, 세원이앤씨 등 4개사는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이 외 비케이탑스는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았고 에이리츠는 2년 연속 매출액이 미달됐다.
감사의견 미달을 받거나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않은 기업은 상장폐지 통보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고, 이의신청 시 거래소는 개선기간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2년 연속 감사의견 거절 상장법인의 경우 오는 16일 개선기간 종료 후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태영건설, 국보, 한창, 웰바이오텍, 티와이홀딩스 등 5개사는 상장폐지사유 발생 및 감사범위제한 한정으로 관리종목에 신규 지정됐다. 하이트론씨스템즈, 일정실업, 선도전기 3개사는 관리종목 지정에서 해제됐다.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폐지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총 42개사로 지난해 31개사 대비 35.4% 증가했다. 신규 감사인 의견 미달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위니아에이드, 엠벤처투자, 에이티세미콘, 코다코, 비디아이 등 30개사며, 2년차 의견 미달 기업은 한국테크놀로지, 셀리버리, 비덴트, KH 건설, 뉴지랩파마 등 10개사다. 3년차 의견 미달 기업은 이즈미디어, 스마트솔루션즈 2개사로 나타났다.
신규 감사인 의견 미달사유가 발생한 기업은 상장폐지 통지일로부터 15영업일 이내에 상장법인이 이의신청을 할 수 있으며, 이의신청할 경우 차기 사업보고서 법정제출기한의 다음 날부터 10일까지 개선기간 부여 여부를 결정한다.
2년 연속 감사인 의견 미달사유 발생기업은 2022사업연도 감사인 의견 미달 상장폐지사유와 병합해 2024년 중 기업심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폐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3년 이상 감사인 의견 미달사유 발생기업은 이미 기업심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통해 상장폐지가 결정돼 별도의 상장폐지 절차는 없다.
관리종목으로는 총 20개사가 신규 지정됐고 4개사는 지정 해제됐다. 지난해 대비 신규 지정은 2개사가 증가했고 해제는 5개사가 감소했다. 투자주의환기종목으로는 총 35개사가 신규 지정됐고 26개사는 해제됐다. 5개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사유 발생이 증가했으며 지난해 대비 신규 지정은 9개사가 증가했고 해제는 1개사가 감소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구준엽 아내' 故 서희원 1,200억 유산 향방은…"법적 분쟁 가능성도"
2“담배연기 없는 세상 위해”...한국필립모리스, ‘아이코스 일루마 아이’ 시리즈 출시
3서울시, 규제철폐 1호 '용도비율완화' 신속 가동
4“네이버, AI 사업 본격 드라이브”...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복귀 소식에 ‘들썩’
5가공식품 및 외식물가 고공행진…재료값·배달앱 수수료 인상 영향
6대신증권, 6일 AI 대표기업 주제로 라이브 세미나 진행
7교보증권, 서울대 KDT 과정 우수 프로젝트 선정
8한화투자증권, 애플‧엔비디아 등 미국 우량 회사채 중개 서비스 실시
9코스피, 美-中 관세전쟁 협상 기대감에 2500대 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