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지점 간판 ‘제각각’ 사연은?[김윤주의 금은동]
여의도 내 근거리 지점도 내건 간판은 달라
효율성 측면…“노후화 등 고려 순차적 교체”
금융‧은행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변화에는 디지털 전환·글로벌 확장 등 내부 목표는 물론, 주요국 금리인상 등 외부 요인도 영향을 끼칩니다. 업계 내에선 횡령, 채용 비리와 같은 다양한 사건들도 발생합니다. 다방면의 취재 중 알게 된 흥미로운 ‘금융 은행 동향’을 ‘김윤주의 금은동’ 코너를 통해 전달합니다. [편집자주]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서울 여의도 내에 불과 600m가량 떨어져 있는 하나은행 여의도금융센터와 여의도지점은 서로 다른 간판을 내걸고 영업 중이다. 여의도금융센터는 ‘KEB’가 붙은 예전 ‘KEB하나은행’ 간판이, 여의도지점은 ‘하나은행’이라 적힌 새 간판이 건물 외벽에 걸려있다.
KEB는 ‘Korea Exchange Bank’의 약자로 한국외환은행을 뜻한다. 지난 2015년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이 합병하면서, 하나은행 앞에 ‘KEB’가 붙었다. 앞서 외환은행은 1967년 한국은행의 외국환 업무를 떼어내 국책은행으로 설립됐다. 이후 2012년 하나금융에 인수돼 별도 은행으로 존립하다 2015년 한 은행이 됐다.
두 개의 은행이 통합해 KEB하나은행이 된 지 약 4년 뒤, 2020년 2월 KEB하나은행을 하나은행으로 변경하는 대대적인 작업이 진행됐다. ‘하나’라는 그룹 브랜드의 일원화를 통해 브랜드 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함이다.
당시 하나은행은 브랜드 명칭 변경을 위해 관련 컨설팅을 받고, 고객 자문단 운영 등 외부의 목소리를 들었다. 대부분 고객이 실제로는 ‘하나은행’으로 부르고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하나은행으로 브랜드명을 일원화했다. 특히 ‘케이이비(KEB)’라는 발음상의 어려움과 영문 이니셜을 사용하는 다른 은행 ‘케이비(KB)국민은행’과의 혼동 여지도 고려했다는 후문이다.
브랜드 명칭이 ‘KEB하나은행’에서 ‘하나은행’으로 바뀐 지도 벌써 4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곳곳엔 ‘KEB하나은행’ 간판이 남아있다.
이 같은 배경엔 최근 은행권의 영업 방식 변화도 한 몫 했다. ‘디지털 전환’으로 비대면 영업이 늘어나면서 은행 영업점이 통폐합되거나 폐쇄되는 일이 늘고 있다. 이 상황에서 굳이 간판을 바꿔 달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간판을 바꿔달은 뒤, 해당 지점이 통폐합 된다면 불필요한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다만 은행 브랜드 평판 1위인 하나은행이 고객과 잠재고객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받지 않으려면 빠른 조치도 필요해 보인다. 은행은 다른 업종과 비교해 유독 브랜드 관리에 민감하다. 전국 곳곳에 있는 은행 점포 자체가 은행 브랜드 홍보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3월 16일부터 한달간 은행 브랜드평판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하나은행이 2‧3위에 머문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을 제치고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올해 연말까지 간판 교체 작업을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에서는 아직 KEB라는 사명을 쓰고 있는 곳도 있고, 최근에는 하나은행만의 색상·브랜드정체성(BI)을 확립해나가려고 한다”며 “브랜드 작업을 다시 한 번 점검해 체계적으로 완료가 되면 순차적으로 노후화 등을 고려해 교체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두산 사업구조 재편안, 금융당국 승인...주총 표결은 내달 12일
2‘EV9’ 매력 모두 품은 ‘EV9 GT’...기아, 美서 최초 공개
3민희진, 빌리프랩 대표 등 무더기 고소...50억원 손배소도 제기
4中, ‘무비자 입국 기간’ 늘린다...韓 등 15일→30일 확대
5빙그레, 내년 5월 인적분할...지주사 체제 전환
6한화오션, HD현대重 고발 취소...“국익을 위한 일”
7北, '파병 대가'로 러시아서 '석유 100만 배럴' 이상 받았다
8지라시에 총 맞은 알테오젠 '급락'…김범수 처남은 저가 매수 나서
9 대통령실 "추경, 논의도 검토도 결정한 바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