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셔츠 한 장이 5000원대...'중국 유니클로' 쉬인, 국내 시장 본격 공략
[패션업계 부는 중국풍]②
알리·테무 이어 한국 시장 본격 진출
만원 안팎의 저렴한 가격 내세워
‘가품·안전성’ 극복 숙제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이른바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불리는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마지막 주자, 초저가 의류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쉬인’이 본격적인 국내 시장 진출을 알렸다. 한 장에 1만원도 안 되는 반팔, 2만원도 안 되는 원피스 등 초저가가 쉬인의 무기다. 최근엔 패션의 성지로 불리는 성수동에 팝업스토어를 열어 오프라인 고객을 직접 만나는 등 마케팅을 강화하는 분위기다. 초저가를 무기로 미국과 유럽 시장에 안착한 쉬인이 국내 패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한국 소비자 공략 나선 쉬인
쉬인은 지난달 20일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쉬인은 앞서 2022년 12월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 4월 말 한국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하며 국내 시장 진출을 시작했다. 쉬인은 서브 브랜드인 ‘데이지’의 첫 글로벌 앰버서더로 한국 배우 김유정을 발탁해 국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지난 8일부터는 성수동에 ‘스타일 인 쉬인’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열기도 했다.
쉬인은 유행을 빠르게 반영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패스트 패션’ 온라인 플랫폼이다. 최신 유행을 빠르게 적용해 대량 생산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이 과정을 자동화해 생산량과 재고를 조절하고 유행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쉬인은 이미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글로벌 패션 공룡’으로 성장했다. 전 세계 월간 이용자 수만 3억명에 달하는 쉬인은 지난해 미국과 유럽 등 150개 나라에서 매출 매출 450억 달러(약 62조원)와 영업이익 20억 달러(약 2조8000억원)를 거뒀을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제조·유통 일원화(SPA) 브랜드인 자라나 H&M을 제친 규모다.
쉬인의 급성장 배경에는 ‘초저가’가 자리한다. 유행하는 스타일의 옷을 빠르게 만들어 값싸게 판매하는 전략이 통한 것이다. 5000원대 티셔츠와 1만원대 청바지 등 초저가 제품을 앞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옷이나 액세서리 외에도 가구, 전자기기 등도 판매한다.
배송 경쟁력은 다소 아쉽다. 쉬인의 배송은 중국에서부터 시작된다. 소비자가 옷을 주문하면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의류를 배송한다. 배송기간은 무료 배송을 선택하면 10~14일, 3000원을 지불하고 특급 배송을 선택할 시 5~7일 소요된다.
중국발 패션 공습에 업계 촉각
쉬인이 한국 소비자를 늘리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강화하자 국내 패션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쉬인이 성공적으로 국내시장에 안착할 경우 SPA 브랜드와 패션 전문 플랫폼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동대문에서 옷을 사입해 판매하는 개인 쇼핑몰은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해당 쇼핑몰들은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옷을 동대문에서 사입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격 면에서 쉬인이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기 때문이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쉬인 등 중국발 저가 의류 시장의 공세가 시작되면 ‘초저가 패션’이란 하나의 카테고리가 만들어져 시장을 장악할 수도 있다”며 “특히 10·20세대를 겨냥한, 동대문 패션 기반 온라인 플랫폼에 위협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아직은 쉬인의 행보가 큰 위협이 되지는 않는단 입장이다. 빠른 배송이나 반품, 콘텐츠적인 면에서 아직 중국 이커머스에 비해 자사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판단에서다.
한 패션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당장에 타격은 없을 것”이라며 “쉬인에서 판매하는 옷들의 가격대가 초저가이다 보니 고객층도 10대 소비자들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간 쌓아온 고객 데이터가 있고, 이를 활용해 소비자 취향을 잘 파악할 수 있다”며 “국내 패션플랫폼만이 내세울 수 있는 퀵 배송, AI 추천 등의 서비스를 통해 더 잘하는 분야를 강화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쉬인의 사업 확장 가능성은 국내 패션업계의 가장 큰 위협 요소로 꼽힌다. 초저가 의류를 유통하는 것으로 시작해 패션 전반을 다루는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쉬인은 국내 패션업체와 접촉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에 들어온 이후 CJ제일제당·동원·삼양식품 등 국내 대기업 상품을 입점하며 소비자의 대거 유입을 꾀하기도 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쉬인이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 패션업체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쉬인이 국내시장에서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알리·테무와 마찬가지로 가품이나 유해 물질 논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지난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쉬인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장화에서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발암물질(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이 기준치의 680배 넘게 검출됐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알리와 테무 등 중국 플랫폼이 안전성과 품질 논란을 겪으며 한 차례 주춤했다”며 “쉬인 또한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것이 급선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 소비자 공략 나선 쉬인
쉬인은 지난달 20일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쉬인은 앞서 2022년 12월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 4월 말 한국 공식 홈페이지를 개설하며 국내 시장 진출을 시작했다. 쉬인은 서브 브랜드인 ‘데이지’의 첫 글로벌 앰버서더로 한국 배우 김유정을 발탁해 국내 시장 공략에 나섰다. 지난 8일부터는 성수동에 ‘스타일 인 쉬인’ 오프라인 팝업스토어를 열기도 했다.
쉬인은 유행을 빠르게 반영해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패스트 패션’ 온라인 플랫폼이다. 최신 유행을 빠르게 적용해 대량 생산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이 과정을 자동화해 생산량과 재고를 조절하고 유행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쉬인은 이미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글로벌 패션 공룡’으로 성장했다. 전 세계 월간 이용자 수만 3억명에 달하는 쉬인은 지난해 미국과 유럽 등 150개 나라에서 매출 매출 450억 달러(약 62조원)와 영업이익 20억 달러(약 2조8000억원)를 거뒀을 정도로 급성장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제조·유통 일원화(SPA) 브랜드인 자라나 H&M을 제친 규모다.
쉬인의 급성장 배경에는 ‘초저가’가 자리한다. 유행하는 스타일의 옷을 빠르게 만들어 값싸게 판매하는 전략이 통한 것이다. 5000원대 티셔츠와 1만원대 청바지 등 초저가 제품을 앞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옷이나 액세서리 외에도 가구, 전자기기 등도 판매한다.
배송 경쟁력은 다소 아쉽다. 쉬인의 배송은 중국에서부터 시작된다. 소비자가 옷을 주문하면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의류를 배송한다. 배송기간은 무료 배송을 선택하면 10~14일, 3000원을 지불하고 특급 배송을 선택할 시 5~7일 소요된다.
중국발 패션 공습에 업계 촉각
쉬인이 한국 소비자를 늘리기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강화하자 국내 패션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쉬인이 성공적으로 국내시장에 안착할 경우 SPA 브랜드와 패션 전문 플랫폼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특히 동대문에서 옷을 사입해 판매하는 개인 쇼핑몰은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해당 쇼핑몰들은 중국 공장에서 생산된 옷을 동대문에서 사입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가격 면에서 쉬인이 압도적인 경쟁력을 갖기 때문이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쉬인 등 중국발 저가 의류 시장의 공세가 시작되면 ‘초저가 패션’이란 하나의 카테고리가 만들어져 시장을 장악할 수도 있다”며 “특히 10·20세대를 겨냥한, 동대문 패션 기반 온라인 플랫폼에 위협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아직은 쉬인의 행보가 큰 위협이 되지는 않는단 입장이다. 빠른 배송이나 반품, 콘텐츠적인 면에서 아직 중국 이커머스에 비해 자사 경쟁력이 우수하다는 판단에서다.
한 패션플랫폼 업계 관계자는 “당장에 타격은 없을 것”이라며 “쉬인에서 판매하는 옷들의 가격대가 초저가이다 보니 고객층도 10대 소비자들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간 쌓아온 고객 데이터가 있고, 이를 활용해 소비자 취향을 잘 파악할 수 있다”며 “국내 패션플랫폼만이 내세울 수 있는 퀵 배송, AI 추천 등의 서비스를 통해 더 잘하는 분야를 강화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쉬인의 사업 확장 가능성은 국내 패션업계의 가장 큰 위협 요소로 꼽힌다. 초저가 의류를 유통하는 것으로 시작해 패션 전반을 다루는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 쉬인은 국내 패션업체와 접촉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알리익스프레스가 국내에 들어온 이후 CJ제일제당·동원·삼양식품 등 국내 대기업 상품을 입점하며 소비자의 대거 유입을 꾀하기도 했다. 패션업계 관계자는 “쉬인이 플랫폼으로서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 패션업체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그럼에도 쉬인이 국내시장에서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알리·테무와 마찬가지로 가품이나 유해 물질 논란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지난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쉬인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장화에서 생식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발암물질(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이 기준치의 680배 넘게 검출됐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알리와 테무 등 중국 플랫폼이 안전성과 품질 논란을 겪으며 한 차례 주춤했다”며 “쉬인 또한 소비자의 신뢰를 얻는 것이 급선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다이소 뉴핫템 ‘5000원 무선이어폰’, 이제 더 안 들어오나요?
2中, 지난해 전기·하이브리드차 판매량 41% 증가…역대 최대
3미래에셋증권, 회사채 수요예측서 2조1600억원 확보
4국토위, 14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안질의
5‘역대급’ 독감…4주 만에 환자 수 14배 폭증
6'코코아' 가격 치솟는데, 농민들은 농사 포기
7펄펄 내린 ‘대설’에 항공기 136편·여객선 77척 결항
8BYD, 일본서 도요타 제쳤다...다음주 한국 진출 앞둬
9‘고강도 쇄신’ 주문한 신동빈...“지금이 마지막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