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비싸다는 ‘샤넬’ 너도나도 들더니…상반기 ‘짝퉁’ 적발 1위
올해 상반기 짝퉁 물품 중 샤넬이 52.1%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선물 받은 혹은 내가 구입한 샤넬 가방이 혹시 짝퉁일까’
올해 상반기 지식재산권을 침해해 세관 당국에 적발된 수입품 중 다수가 중국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위 ‘짝퉁’ 수입품 중에서는 샤넬 브랜드를 모방한 물품의 금액이 가장 많았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까지 지식재산권을 침해해 국경 단계에서 적발된 수입품 규모는 934억원(34건)이었다.
수입국별로 보면 중국이 781억원(24건) 규모로 전체의 83.6%를 차지했다. 중국산 짝퉁이 다수인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적발된 지재권 침해 물품(3713억원)의 95.4%(3541억원)는 중국산이었다.
브랜드별로 보면 올해 상반기 짝퉁 물품 중 샤넬이 487억원(52.1%)으로 절반 넘게 차지했다. 다음으로 고야드(75억원), 루이뷔통(41억원), 구찌(20억원) 순으로 많았다.
품목별로는 가방류가 653억원어치로 69.9%를 차지했다. 의류·직물이 196억원어치(21.0%)로 그 다음이었다.
박성훈 의원은 “해외직구 증가와 함께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중국산 짝퉁 제품의 불법 유통까지 늘고 있는 추세”라며 “이를 진품으로 오인해 구입하는 소비자의 피해와 국내외 기업의 경제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국경단계부터 더 촘촘한 단속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다시 불붙은 강남 아파트값...토허제 풀린 ‘잠삼대청’이 주도
2“고속도로 전기차 충전 더 쉬워진다”...워터·쏘카, 업무협약 체결
3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2024 임팩트 리포트’ 발간
4 尹, '10차 탄핵심판' 헌재 출석한 뒤 5분여 만에 퇴정
5“창립 이래 최대 성과” PFCT, 투자자 평균 수익률 11.87%
6포켓몬코리아, 메타몽 매력 알리는 ‘메타몽 프로젝트’ 공개
7DL이앤씨, 대구와 천안에서 마수걸이 분양 나서
8“내가 명절에 못 간 이유”...설연휴 SRT 예매 매크로 사용자 수사의뢰
9류지현 야구대표팀 감독 "2026 WBC, 나이 제한 없이 최정예 멤버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