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생성형 AI’ 시대, 삼성 보안 기술은?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 개최
“생성형 지능과 함께 안전한 미래로”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사장)이 10일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에서 개최된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Samsung Security Tech Forum·SSTF)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이코노미스트 정두용 기자] 삼성전자가 10일 삼성전자 서울 R&D캠퍼스에서 ‘제8회 삼성 보안 기술 포럼’(Samsung Security Tech Forum·SSTF)을 개최했다. 올해로 8회째를 맞은 이 행사는 학계·업계 관계자들이 참가해 보안 기술 분야의 최신 기술과 동향을 공유하는 자리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보안: 생성형 지능과 함께 안전한 미래로’(Security with GenAI: Safeguarding the Future with Generative Intelligence)’다.

전경훈 삼성전자 DX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사장)은 환영사에서 “AI는 단순히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보안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며 “삼성전자의 비전과 도전은 AI와 보안 기술을 융합해 미래를 더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김태수 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시큐리티 & 프라이버시팀 상무는 기조 강연을 통해 ‘생성형 AI 시대에 더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도전과 기회’에 대한 견해를 공유했다. 또 최근 미국 정부에서 주최한 AI 보안 기술 경진대회인 ‘AI 사이버 챌린지’(AIxCC)에서 선보인 AI 보안 시스템 개발 과정과 그 성과에 대해 발표했다.

▲브렌든 돌란 가빗(Brendan Dolan-Gavitt) 미국 뉴욕대학교(NYU) 컴퓨터공학부 교수 ▲윤인수 카이스트(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박상돈 포스텍(POSTECH) 컴퓨터공학과 교수 등 보안기술 분야 석학들의 초청 강연도 진행됐다.

브렌든 돌란 가빗 교수는 AI 활용이 취약점 탐지 등에 효과적이나 새로운 위험 요소도 존재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윤 교수는 해킹을 알고 대비하는 안전한 세상과 AI가 사이버 보안의 미래에 가져올 변화를 설명했다. 박 교수는 신뢰할 수 있는 AI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에서 얻은 교훈들을 공유했다.

올해 기술 세션에서는 보안 분야 글로벌 주요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의 저자들을 초청해 그들의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또 삼성리서치에서 추진하고 있는 보안 분야 연구 활동인 인위적인 문자메시지 트래픽 부풀리기(Artificial Inflation of Traffic·AIT) 탐지와 민감 데이터 보호 기술 등이 소개됐다. AIxCC에 참여한 연구원들과 함께하는 패널 토의도 진행됐다.

보안 체험 공간도 마련됐다. 올해는 참가자들이 AI를 활용한 보안 기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참가자들은 생성형 AI 도구를 활용해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을 찾아내거나 직접 해킹을 시도해 보는 등 다양한 보안 체험 행사에 참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

2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3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4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

5"교육비 감당 어쩌나?"…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

6 미국 관세 강행, 지수 선물 일제 폭락…나스닥 5%↓

7‘일단 안된다’는 당국…경쟁력 잃는 국내 거래소들

8정부·대학·기업, 청년 취업난에 팔 걷어붙였다

9‘쉰’ 청년 늘었다…“기업·대학 협력 늘리고 제도 손 봐야”

실시간 뉴스

1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 해결 안되면 中과 협상 없다”

2비트코인, 트럼프 상호관세 충격에 8만달러선 붕괴

3대기업 바라기 청년들?…임금 격차 무시 못해

4해외는 열고, 한국은 막고…가상자산 거래소 격차 커진다

5"교육비 감당 어쩌나?"…교육물가 금융위기 이후 최대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