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지고 K푸드 뜬다”…중국 소비자 변심, 왜?
中, 한국 제품 소비 취향 화장품→음식으로 옮겨가
K-뷰티 제품 중국 내 인기 전망 엇갈려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한국 제품이 화장품에서 음식으로 옮겨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1일 보도했다.
상하이 금융업계에서 일하는 자오쓰치(28) 씨는 한국 배우 김지원이 홍보하는 K-뷰티 브랜드 ‘후’를 좋아하지만, 그가 더 좋아하는 것은 한국 음식이다. 매운 것이 당길 때마다 한국의 라면을 찾는다. 그의 친구인 애슐리 쑨(23) 씨는 한국 걸그룹 (여자)아이들이 광고하는 매운 불닭볶음면에 빠졌다.
두 사람은 이제는 K-뷰티보다는 K-푸드에 더 많이 돈을 쓰는 중국 소비자들의 태도를 대표한다고 SCMP는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의 써니 문 매니저는 SCMP에 “중국에는 확고히 자리잡은 K-푸드 시장이 있다”며 “그 트렌드는 음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떡볶이, 핫도그, 닭강정, 양념치킨 같은 길거리 음식 등 K-드라마에 나온 환경과 분위기가 상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K-콘텐츠의 문화적 측면이 음식과 패션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소비자 경험을 포괄하는 새로운 사업 기회의 길을 열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2017년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외국 브랜드 중 최대를 차지했던 K-뷰티 점유율(27%)은 3년 후 중국이 한국 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을 걸자 4위로 떨어졌고 작년에는 14.2%로 추락했다고 SCMP는 한국 매체를 인용해 보도했다.
그러면서 “반면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K-푸드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5.2% 증가한 11억달러(약 1조4800억원)”라고 전했다. 특히 라면이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냉동 김밥이나 즉석밥, 떡볶이 같은 쌀 기반 가공식품의 수출이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신문은 “중국에서 K-푸드 수요 급증은 2017년 한국이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를 배치하면서 중국이 가했던 제재가 완화된 것과 맞물렸다”며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한류 스타들 모습이 중국에서 자취를 감췄지만 2021년부터 서서히 제한이 풀렸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1월 뉴진스, 르세라핌, 엑소 등 20여개의 K-팝 밴드가 베이징, 광저우, 칭다오에서 팬미팅을 열었고 홍콩과 마카오에서도 중국 팬들은 한국 스타들을 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K-뷰티 제품의 중국 내 인기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렸다. 홍콩 화장품 편집숍인 사사(Sa Sa) 최고재무책임자(CFO) 대니 호는 SCMP에 “한국 제품은 맞춤형 제품을 선호하는 Z세대 취향을 저격하며 최근 몇 년간 틈새시장 성장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립 틴트, 메이크업 픽서, 니치 향수 등을 아우르는 틈새시장의 판매가 완만히 성장했고 이는 매출 기준으로 두 번째로 큰 부문이라는 것이다.
반면 중국에서 K-뷰티 제품의 판매가 하락할 것이라 전망한 컨설팅회사 프로스트앤드설리번의 소먀 스리나트는 “이 분야에서 ‘한류’의 매력은 감소했다”면서 “한국은 중가 뷰티 제품 부문에서 활약했지만, 이제는 경쟁력 있는 중국 제품들로 대체됐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상하이 금융업계에서 일하는 자오쓰치(28) 씨는 한국 배우 김지원이 홍보하는 K-뷰티 브랜드 ‘후’를 좋아하지만, 그가 더 좋아하는 것은 한국 음식이다. 매운 것이 당길 때마다 한국의 라면을 찾는다. 그의 친구인 애슐리 쑨(23) 씨는 한국 걸그룹 (여자)아이들이 광고하는 매운 불닭볶음면에 빠졌다.
두 사람은 이제는 K-뷰티보다는 K-푸드에 더 많이 돈을 쓰는 중국 소비자들의 태도를 대표한다고 SCMP는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의 써니 문 매니저는 SCMP에 “중국에는 확고히 자리잡은 K-푸드 시장이 있다”며 “그 트렌드는 음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떡볶이, 핫도그, 닭강정, 양념치킨 같은 길거리 음식 등 K-드라마에 나온 환경과 분위기가 상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K-콘텐츠의 문화적 측면이 음식과 패션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소비자 경험을 포괄하는 새로운 사업 기회의 길을 열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2017년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외국 브랜드 중 최대를 차지했던 K-뷰티 점유율(27%)은 3년 후 중국이 한국 제품에 대한 수출 제한을 걸자 4위로 떨어졌고 작년에는 14.2%로 추락했다고 SCMP는 한국 매체를 인용해 보도했다.
그러면서 “반면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9월 K-푸드 중국 수출은 전년 동기보다 5.2% 증가한 11억달러(약 1조4800억원)”라고 전했다. 특히 라면이 중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냉동 김밥이나 즉석밥, 떡볶이 같은 쌀 기반 가공식품의 수출이 증가했다고 소개했다.
신문은 “중국에서 K-푸드 수요 급증은 2017년 한국이 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를 배치하면서 중국이 가했던 제재가 완화된 것과 맞물렸다”며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한류 스타들 모습이 중국에서 자취를 감췄지만 2021년부터 서서히 제한이 풀렸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1월 뉴진스, 르세라핌, 엑소 등 20여개의 K-팝 밴드가 베이징, 광저우, 칭다오에서 팬미팅을 열었고 홍콩과 마카오에서도 중국 팬들은 한국 스타들을 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K-뷰티 제품의 중국 내 인기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렸다. 홍콩 화장품 편집숍인 사사(Sa Sa) 최고재무책임자(CFO) 대니 호는 SCMP에 “한국 제품은 맞춤형 제품을 선호하는 Z세대 취향을 저격하며 최근 몇 년간 틈새시장 성장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립 틴트, 메이크업 픽서, 니치 향수 등을 아우르는 틈새시장의 판매가 완만히 성장했고 이는 매출 기준으로 두 번째로 큰 부문이라는 것이다.
반면 중국에서 K-뷰티 제품의 판매가 하락할 것이라 전망한 컨설팅회사 프로스트앤드설리번의 소먀 스리나트는 “이 분야에서 ‘한류’의 매력은 감소했다”면서 “한국은 중가 뷰티 제품 부문에서 활약했지만, 이제는 경쟁력 있는 중국 제품들로 대체됐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설 연휴엔 해외주식 거래'… 증권사 고객 유치 경쟁
2부담 없이 즐기는 설 문화 나들이…무료·할인 혜택 주목
3'빅5' 병원 수술 건수 회복...전공의 이탈 이전 대비 74% 수준
4“새해 특수 누리나 했더니”…자취 감춘 은행 특판 예·적금 상품
5옛말된 시월드, 요즘엔 '처월드'…"갈 곳 잃은 남편들"
6도박에 빠진 청년들...20·30대 중독 환자 2000명 이상
7여행은 반려견과...대한항공 탄 반려동물 4년 새 2배↑
8하나금융 차기 회장에 함영주 내정...연임 후보로 추천
9AI 의료기기 기업, 설 연휴 중동으로...'아랍헬스'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