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대구 출생아와 혼인 증가세 반등... "일자리 요인이 가장 크게 기여"

올해 8월까지 혼인건수는 6,26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늘어나, 전국 2위 증가세
동기간 대구시 출생아수도 6,596명으로 1.7% 증가해 인천, 서울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
일자리 요인 46.2%, 주거 요인 42.2%, 정책 요인은 11.6% 각각 기여

사진 대구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대구의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7%, 1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대구의 혼인 건수는 6,260건으로 대전에 이어 전국 2위 증가율을 보였고, 출생아 수는 6,596명으로 인천과 서울에 이어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은 이번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 증가에 대한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10월 31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청년층을 위한 일자리, 주거, 정책 요인이라는 세 가지 주요 요인이 결합돼 증가세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계량적 분석을 통해 각각의 기여도를 산출한 결과, 일자리 요인이 46.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주거 요인 42.2%, 정책 요인 11.6%로 분석됐다. 일자리 요인이 청년 유입의 선도 요인으로 작용해 주거 안정, 출산 및 보육 정책 등의 영향을 연이어 미치는 구조로 파악됐다.

연구진은 인구학적 측면에서 결혼적령기 인구가 타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인다면서, 대구시 30~34세 인구 비중이 2023년 146,165명으로 2020년 대비 2.77% 증가했으며 이는 서울, 부산보다 높은 수치라고 분석했다. 또한 청년인구 유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2020년 대비 2023년 30~34세 순이동자 수가 8개 대도시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대구시는 지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총 37개 기업과 9조 2,033억 원 규모의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해 청년일자리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주거요인으로 수도권 대비 비교적 저렴한 주택 가격, 양질의 교육 및 문화 여건이 결혼적령기 청년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정책 요인으로는 대구형 온종일돌봄 등 공보육 지원, 건강한 임신과 출산 여건을 위한 지원 등이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정책연구원 박양호 원장은 "대구 혁신 100+1 정책 추진과 미래 신산업 육성 등 대구시 전반에 걸친 혁신 정책이 청년층의 결혼과 출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앞으로 대구가 청년이 모이는 정주 도시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홍성철 기자 thor010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2“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3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4“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5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

6 "다시 윤석열" 전 국방부장관 김용현,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옥중서신

7“싸구려 취급” 분노에도...전국민 2명 중 1명, ‘지프리 프사’ 이용했다

8‘자산 500조’ 머스크, 세계부자 1위 탈환…韓 1위는?

9北김정은, ‘尹파면’에 특수부대 훈련시찰…“싸움 준비가 최고의 애국”

실시간 뉴스

1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2“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3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4“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

5파면 이틀째 尹, 관저 퇴거는 언제...아크로비스타 복귀에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