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 9개월 만에 하락

올해 첫 하락 전환…2단계 스트레스 DSR‧대출 금리 인상 영향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부진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실거래가 지수가 하락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관훈 기자] 최근 서울 아파트 거래가 부진하면서 실거래가 지수가 9개월 만에 떨어졌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공동주택 실거래가 지수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0.01%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떨어진 것은 작년 12월(-1.19%) 이후 9개월 만이다. 올해 들어 첫 하락 전환이다.

실거래가 지수는 시세 중심의 가격 동향 조사와 달리 실제 거래된 실거래가격을 이전 거래가와 비교해 지수화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하락으로 전환된 것은 9월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가계부채 관리 명목으로 시중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인상하고 유주택자의 대출을 제한하고 있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며 강남권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 신고가 단지가 속출하는 등 가격 상승이 큰 가운데 대출 규제까지 강화되면서 매수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올해 7월 9181건(계약일 기준), 8월 6474건을 기록한 뒤 대출 규제가 본격화한 9월에는 3089건으로 급감했다. 

권역별로는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있는 동남권의 지수가 0.86% 올라 상승세가 이어진 반면, 은평·서대문구 등이 있는 서북권이 0.90% 하락해 서울에서 낙폭이 가장 컸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 등이 위치한 동북권도 0.42% 내렸다.

경기도는 9월 실거래가 지수가 보합, 인천은 0.04% 오르면서 수도권 전체 지수는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등 수도권과 달리 지방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0.20% 올랐다. 이 영향으로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0.09% 상승했다. 다만 상승폭은 8월(0.67%)에 비해 크게 둔화했다.

서울은 10월에도 실거래가 지수 하락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말까지 신고된 매매계약 건으로 산출한 10월 실거래가 지수 잠정지수는 서울이 0.36%, 전국은 0.06% 하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

6결론 임박한 KDDX 사업...‘공동설계’ 실현 가능성은

7오밤중에 용산 노후 아파트 천장 붕괴…20kg 콘크리트 덩어리 ‘아찔’

8‘벼랑 끝’ 고려아연 핵심 기술진 “영풍·MBK 무법질주 막아달라”

9CJ올리브영, '임차 건물' 아예 인수 나선다...'6000억원대 가치'

실시간 뉴스

12월 소비심리, 두 달 연속 상승…“정치상황 안정·산업지원 기대”

2“제2의 머지포인트 사태”...‘폐업 상조사’ 위드라이프 피해자 집단 고소

3한국은행 “트럼프발 불확실성에 국내 주력산업 성장 제약”

4임원 2000명 소집한 삼성그룹...'삼성다움' 세미나 열어

5북한군 포로 "한국 가고 싶다"… 정부 "전원 수용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