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당 2억원’ 넘겼다...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신고가
133.95㎡(52평) 106억원에 거래돼
‘똘똘한 한 채’ 원하는 분위기 여파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26일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면적 133.95㎡(52평)이 106억원에 거래됐다. 한 평당 2억6114만원인 셈이다. 이 아파트의 같은 단지에서는 지난해 8월 전용 84㎡가 60억원에 거래돼 평당 가격이 가장 높았다. 하지만 이는 평당 1억7600만원 수준으로 최근 매매 가격보다 낮다.
전문가들은 고금리·고강도 대출 규제가 굳어지는 상황에서 ‘똘똘한 한 채’를 원하는 수요가 작용했다고 본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해당 매물은 한강이 한눈에 보여 다른 단지와 비교해서도 이른바 ‘한강뷰’가 우수한 편이라 높은 가격에 거래됐다”고 했다. 이 매물은 33층 가운데 28층이다. 파노라마뷰로 한강을 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주 연속 보합(0%)세를 보였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주요 입지에서 아파트를 매수하는 이들은 고금리 및 대출 규제와 무관한 만큼, 구매력이 있다”며 “앞으로도 입지가 좋은 강남 3구와 용산구 등을 중심으로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지난해 12월 기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의 3.3㎡당 평균 실거래가는 7349만원을 기록했다. 8월(6665만원)보다 10.8%포인트(p) 상승했다. 같은 기간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은 1.8%p 상승했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은 3%p 하락했다. 강남 3구가 이들 지역의 변동률을 웃돌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차에서 자도 됩니다' 대학생 노숙, 미국에선 흔한 일?
2LH, 지난해 영업익 3404억원…전년대비 679% 증가
3서울시, 토허제 입주권 실거주 의무 유예 검토
4트럼프 관세 폭탄에 구찌‧루이비통 글로벌 명품시장도 ‘안사요’
5‘마영전’ IP 신작 ‘빈딕투스: 디파잉 페이트’, 6월 글로벌 알파 테스트 실시
6유튜버 허성범·1타 강사 김민정…우리금융 찾은 사연은?
7퓨리오사AI 방문한 이재명...“중요한 건 먹고 사는 문제, 희망 보인다”
8한미약품, 美 AACR서 비임상 연구 성과 11건 발표
9네이버,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한국의 핫플 소개하는 ‘비로컬’(BE LOCAL) 캠페인 선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