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원전 발전 비중 32.5%...韓 최대 발전원 등극
국내 총 전력 거래량 54만9387GWh
원자력 발전, LNG·석탄 등 제치고 1위
![](/data/ecn/image/2025/02/09/ecn20250209000005.800x.0.jpg)
9일 전력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총 전력 거래량은 54만9387GWh(기가와트시)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원자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32.5%로, ▲액화천연가스(LNG·29.8%) ▲석탄(29.4%) ▲신재생에너지(6.9%)를 제치고 최대 발전원으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원전 발전 비중은 2009년(34.8%) 이후 1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원전이 최대 발전원으로 등극한 것도 2006년 이후 18년 만이다. 그동안 2007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주력 발전원은 석탄이었다.
과거 원자력 발전의 비중은 2000년대 중반까지 40%대를 유지했으나, LNG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증가하면서 점진적으로 30%대로 낮아졌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원전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추진하면서 2018년 원전 비중이 23.7%까지 감소했다. 이후 윤석열 정부 출범 후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전 확대 기조를 유지하면서 다시 30%대를 회복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 원전 비중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신한울 2호기의 신규 가동과 전체 원전의 높은 이용률이 꼽힌다.
지난 2024년 4월 신한울 2호기가 상업 운전에 돌입하면서 국내에서 가동 중인 원전은 총 26기로 늘어났다.
아울러 한국원자력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원전 이용률은 83.8%로, 2015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기존 원전에서도 더 많은 전력이 생산됐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발전원별 비중 변화를 살펴보면 ▲원전(1.0%p) ▲LNG(1.6%p) ▲신재생에너지(0.7%p) 등의 비율은 전년 대비 증가했다. 이에 반해 석탄 발전의 비중은 3.5%p 감소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원전 비중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26기의 원전이 운영 중이다. 건설 마무리 단계에 있는 새울 3·4호기와 지난해 착공된 신한울 3·4호기가 추가로 투입될 경우 가동 원전은 총 30기에 달한다.
더 나아가 정부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신규 원전 2기 건설 계획을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38년까지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각각 35.1%와 29.2%로 설정하는 목표를 제시한 상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