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1월 전국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 45%…6개월 연속 증가세

수도권 43.6%, 경기 45.7%, 인천 45.1%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이전 거래가격보다 싼 값에 거래되는 '하락거래' 비중이 6개월 연속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분석한 결과 2025년 1월 전국 아파트 하락거래 비중은 44.9%로 나타났다. 하락거래는 지난해 8월(39.8%)부터 늘어나 같은 해 11월(43.7%)에는 상승거래와 비교해 하락거래 비중이 더 커졌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하락거래 비중이 지난해 12월 43.4%로 집계되며 상승거래 비중보다 높아졌고, 지난달도 43.6%를 차지했다.

서울(36.9%)은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높은 가운데 경기(45.7%)와 인천(45.1%) 아파트 거래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수도권 하락거래 비중을 높였다.

자치구별로 보면 서울은 금천구(66.7%), 노원구(55.7%)에서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구축 중소형 면적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거래가격은 종전 가격보다 낮았다.

경기에서는 성남시 수정구(61.5%), 이천시(61.1%), 안산시 상록구(61.0%), 동두천시(60.0%), 의왕시(55.9%), 용인시 처인구(51.8%), 의정부시(50.8%), 파주시(50.4%), 고양시 일산동구(50.0%)에서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을 웃돌았다.

인천은 중구(52.8%), 남동구(51.6%)의 하락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었고, 연수구도 49.3%로 절반에 육박하는 거래가 종전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지방광역시는 지난해 11월 하락거래가 44.8%로 상승거래(42.7%)를 뛰어넘었고, 지난 1월에도 45.6%로 하락거래가 많았다.

지역별로는 대전 49.2%, 제주 49.0%, 부산 47.1%, 대구 46.3%, 충북 46.3%, 충남 46.1%, 경북 46.0%, 강원 45.9%, 경남 45.2%, 전북 45.2%, 전남 44.4%, 세종 44.3%, 광주 43.8%, 울산 41.7% 순으로 하락거래 비중이 컸다.

더욱이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만8719건으로 적은 숫자를 보이고 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인구 감소, 수요 감소, 지역 경제 불안 등으로 수요가 제한된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까지 더해져 거래시장의 위축은 지속될 것"이라며 "수도권은 매수 관망세가 짙은 가운데 일부 단지의 거래는 이어지고 있어 국지적인 수요로 상승세가 혼재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챗GPT 개발한 '오픈AI'...4개월만 몸값 2배 올라

2시프트업, 지난해 영업익 1486억원…전년 대비 33.8%↑

3"김치 원산지는 중국" 딥시크 충격 발언…언어별 답변 달랐다?

4솔루엠, 스페인 ‘ISE 2025’서 AI 기반 첨단기술 공개

5이지스자산운용, '마곡 랜드마크' 원그로브 본격 운용

6대구 북구, 오겜 패러디해 '정월대보름 축제' 홍보

7호텔서 트럼프 취임식 본 홍준표, "국익 해칠 우려 있다"며 출장내역 비공개

8영주시, 12일 '2025 정월대보름 행사' 개최

9‘푸른 고래’ 딥시크, 영어보다 한국어 공격에 18% 더 취약…보안성 ‘심각’

실시간 뉴스

1챗GPT 개발한 '오픈AI'...4개월만 몸값 2배 올라

2시프트업, 지난해 영업익 1486억원…전년 대비 33.8%↑

3"김치 원산지는 중국" 딥시크 충격 발언…언어별 답변 달랐다?

4솔루엠, 스페인 ‘ISE 2025’서 AI 기반 첨단기술 공개

5이지스자산운용, '마곡 랜드마크' 원그로브 본격 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