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일반
챗GPT 개발한 '오픈AI'...4개월만 몸값 2배 올라
- 일본 소프트뱅크서 400억달러 투자
FT "딥시크 돌풍이 AI 투자 부추겨"

10일(현지시각) 미국 현지 매체에 따르면 오픈AI는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에서 400억달러(약 58조원) 규모의 투자를 끌어내며 '몸값'이 훌쩍 뛰었다.
이번 투자 규모는 창업한 지 10년가량인 오픈AI로서 큰 금액이며, 민간 자금 조달 사상 최대 규모다. 투자가 성사되면 오픈AI의 최대 투자자가 마이크로소프트(MS)에서 소프트뱅크로 바뀐다. 오픈AI는 투자금 상당수를 미국 전역에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짓는 데 쏟을 계획이다.
오픈AI는 챗GPT가 세계적으로 흥행하며 미국이 중국에 앞서 AI 산업을 주도한다는 기대를 키웠다. 오픈AI를 공동 창업한 '천재 개발자' 일리야 수츠케버가 지난해 설립한 AI 스타트업 SSI는 200억달러(약 29조원)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기도 했다.
AI 기업이 높은 몸값을 기록하는 이유는 중국의 AI 서비스 '딥시크'로 인해 AI 업계 투자가 크게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으나, AI 스타트업을 향한 투자가 쏟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영국 매체 파이낸셜타임스(FT)는 "중국 딥시크 돌풍이 AI 투자를 부추겼다"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차는 바보여도 된다"… 서울로보틱스가 바꾼 자율주행 공식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MLB 올스타전 신기하네, 홈런 스윙오프 실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