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불확실성 심각하다”...KDI, 올해 韓 성장률 1.6%로 낮춰

미국 정책변화에 통상 환경 악화 영향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쌓여있다.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음.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장기화된 고금리·고환율 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에 대한 기대감이 대폭 낮아졌다.

11일 KDI는 '경제전망 수정'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0%에서 1.6%로 0.4%포인트 낮췄다. 지난해 11월 0.3%포인트를 끌어 내린 데 이어 이번에 더 큰 폭으로 내렸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브리핑에서 "성장률을 끌어내린 주요 요인을 하나로 꼽기 어려울 정도로 대내외 요인이 모두 반영됐다"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상 정책이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지난해 11월의 전망과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진행된 점이 작용했다"고 했다.

KDI는 내수와 수출 증가폭이 모두 축소될 것으로 분석했다. 민간소비 증가율(1.8%→1.6%)은 수출 증가세 둔화와 가계심리 위축을 반영해 0.2%p 하향 조정했다.

대외 불확실성 확대를 반영해 설비투자 증가율(2.1%→2.0%)을 소폭 하향 조정했으며 경기 개선을 제약해온 건설투자의 회복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건설투자는 누적된 수주부진의 영향이 지속돼 전년(-2.7%)에 이어 –1.2%의 감소세를 나타낼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보다 0.5%p 하향조정된 수치다. 건설업체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와 부동산경기 둔화를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KDI는 정국 불안이 장기화할 경우 1.6%보다 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 금리 인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 실장은 "통화정책은 물가와 경기를 안정시켜야 한다는 명확한 목표가 있다"며 "지난주 IMF에서 한국과 연례협의를 하면서도 통화 정책의 정상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던 점을 귀담아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의료 AI’ 잘 나가네…루닛·뷰노 가파른 외형 성장

2네오위즈, 지난해 영업익 333억…전년比 5.3%↑

3SOOP, 지난해 영업이익 1143억…전년比 27%↑

4"아빠 없이 애만…" 박나래, 뜻밖의 임신설?

5해태아이스, 인기게임 ‘운빨존많겜’과 손잡았다

6테무, 트럼프 관세 폭탄에 운영방식 변경…"미국 배송은 직접"

7bhc, 멤버십 회원제 기반 신규 앱 론칭 예정

82월 수도권 아파트 분양 물량 감소…평균 대비 59% 그쳐

9신라젠, 항암제 후보물질 BAL0891 美 1상 변경 승인 신청

실시간 뉴스

1‘의료 AI’ 잘 나가네…루닛·뷰노 가파른 외형 성장

2네오위즈, 지난해 영업익 333억…전년比 5.3%↑

3SOOP, 지난해 영업이익 1143억…전년比 27%↑

4"아빠 없이 애만…" 박나래, 뜻밖의 임신설?

5해태아이스, 인기게임 ‘운빨존많겜’과 손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