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창업주 손자, 한국에 세계 최대 AI 데이터 센터 건설 추진
올해 착공 2028년 완공 목표…전남도와 수자원 확보 등 협약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LG 창업주 손자인 브라이언 구(Brian Koo) 등이 한국에 세계 최대 규모 인공지능(AI) 데이터 센터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데이터 센터의 규모는 3기가와트(GW)로, 최대 350억 달러(약 50조원)가 투자될 예정이다.
전 세계적으로 1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을 보유한 데이터 센터는 흔치 않다. 이 규모는 미국에서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Stargate) 프로젝트’의 하나로 텍사스에 건설되는 데이터 센터의 약 세 배 큰 규모다. 1기가와트는 75∼100만 가구가 사용하는 전력량과 맞먹는 수준인데, 그 규모의 3배라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스톡 팜 로드’(Stock Farm Road)라는 투자 그룹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투자 그룹의 공동 창립자는 LG 창업주 손자인 브라이언 구(Brian Koo)와 런던 및 요르단에 기반을 둔 투자사 BADR 인베스트먼트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아민 바드르엘딘이다.
스톡 팜 로드는 초기 투자금으로 100억 달러를 투입하고, 장기적으로 최대 35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브라이언 구는 “현재 한국의 데이터 센터는 주로 국내 수요를 맞추고 있지만 한국은 세계 시장을 겨냥한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WSJ은 데이터 센터가 들어설 구체적인 장소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남서부 지역에서 추진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투자자들이 전력 및 수자원 확보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해 전라남도와 협약을 체결했다며 전남 지역 가능성을 시사했다. 스톡 팜 로드 등은 데이터 센터 건설을 올해 초 착공할 계획이다. 2028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다만 WSJ는 “데이터 센터 건설을 위한 공급망 부족 문제와 엔비디아의 AI 칩 공급난이 지속되면서 글로벌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가 지연될 가능성도 있다”며 “이 프로젝트도 2028년 이후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의 대규모 데이터 센터 건설은 AI 열풍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도 전 세계적으로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유럽, 중동에서도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가 활발히 추진 중인 가운데 아시아에서는 한국 외에도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 등지에서 저렴한 토지와 인건비를 활용한 데이터 센터 단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칠성, ‘푸드 QR’ 도입…성분부터 보관법까지 한눈에 OK
2EU 무역 수장 "美 관세 인하 검토 할 수도"…설득 의지 비쳐
3빅파마 눈길 끈 장기지속형 주사제…국내사 잇단 협력
4잔스포츠, 롯데월드몰에 첫 서울 매장 오픈…2025 SS 신상 한정 공개
5빗썸, 뒤늦은 비토르 토큰 지급 논란
6보테가 베네타 X 손예진, 감각적인 2025 여름 컬렉션 화보 ‘눈길’
7이데일리·이데일리M, 美 대표 AI 검색 엔진 퍼플렉시티AI와 미디어 파트너 계약
8코스피, 약보합 출발…2640대서 등락
9 공수처, 국방부 정보본부 압수수색..'비상계엄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