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도 이제 쿠팡”...‘프리미엄 프레시’ 뜬다
품질 검증 거친 과일·수산·채소·정육 등 선봬

쿠팡은 과일·수산·채소·정육 등 다양한 프리미엄 신선식품을 새롭게 선보인다고 24일 밝혔다. 프리미엄 프레시는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선도와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제품군이다.
쿠팡 로켓프레시가 새롭게 선보이는 프리미엄 신선식품인 ‘프리미엄 프레시’는 과일·수산·채소·정육·계란·유제품 등 12개 카테고리 500여개 상품을 제공한다. 쿠팡은 이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과일·수산·채소의 경우 품질·크기 등 쿠팡이 정한 프리미엄 품질 기준을 충족한 상품에 ‘프리미엄 프레시’ 라벨을 부착해 판매한다. 쿠팡은 엄격한 검품 과정을 통해 고객들에게 최상의 품질을 보장한다. 과일은 당도·품질·크기 등의 기준을, 수산물은 크기와 원산지 등을 기준으로 엄선한 제품이다.
정육 부문에서는 설로인·본앤브레드·우미학·우미우 등 최고급 하이엔드 1++등급(투뿔) 한우 브랜드 제품을 선보인다. 계란은 자유방목 1번란 브랜드를 제공한다. 우유는 제주 성이시돌목장·범산목장·영준목장 등 전용 목장을 보유한 유기농 브랜드를 확대했다. 이 밖에도 차별화된 원재료를 사용한 음료, 유명 브랜드의 다양한 베이커리 및 수입 치즈 상품, 유기농 곡물 등 다양한 상품 구색을 갖췄다.
프리미엄 프레시를 비롯한 로켓프레시 서비스는 와우회원에게 제공된다. 주문 최소 금액은 1만5000원으로 국내 최저 수준이다. 이번 프리미엄 프레시 론칭으로 소비자들은 기존 프레시 상품은 물론 프리미엄 프레시 상품까지 폭넓은 선택지를 갖게 됐다.

쿠팡 신선식품 브랜드매니저(BM)와 퀄리티매니저(QM)들은 최상의 상품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의 주요 산지를 직접 방문한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프리미엄 프레시 사과가 있다. 실제로 쿠팡 BM 및 QM은 산지를 20차례 이상 방문한 후 30년 이상 사과를 재배해 온 영주 소백산 자락의 우수 농가에서 최상급 사과를 발굴했다. 쿠팡의 꼼꼼한 품질 검사를 통과한 이 사과는 14브릭스 이상의 고당도를 자랑하며, 단맛과 새콤한 맛의 균형이 뛰어나 소비자의 미각을 만족시킬 예정이다.
프리미엄 프레시 제품은 5단계의 정밀한 품질 검사를 거쳐 고객에게 전달된다. 먼저 상품화 과정에서 중량을 점검하고 상처 유무를 확인한다. 이후 3차 선별을 거쳐 쿠팡 물류센터로 이동하며, 입고 과정에서 한 번 더 품질을 검수한다. 마지막으로 출고 전 최종 검사를 거쳐 엄선된 상품만을 고객에게 배송한다.
패키지도 차별화했다. 기존 파란색 운송장을 녹색 프리미엄 프레시 시그니처 운송장으로 변경해 한눈에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쿠팡 관계자는 “프리미엄 프레시는 단순한 신선식품이 아니라 고객들에게 최고의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며 “엄격한 품질 관리와 차별화된 서비스로 로켓프레시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신선식품 시장에서 혁신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덕분에 살아 있어" 봉투 속 20만원과 편지, 정체는
2위너스, 심상치 않은 데뷔전…올해 첫 '따따블' 환호성
3신세계톰보이, 구스다운 점퍼 자발적 환불...'협력사가 허위 제출'
4현대건설, 아시아 최대 디자인 어워드 4년 연속 수상
5대기업과 손잡고 싶은 스타트업이라면...중기부 OI 지원사업 노려볼 만해
6“‘연 3%대’ 실종…누가 돈 넣겠나” 뚝뚝 떨어지는 예금 금리
7삼성전자, 3자녀 이상 직원 정년 후 재고용 방안 추진
8쥬얼리 출신 조민아, 보험설계사 변신 후 ‘전국 4위’ 쾌거
9"이자 갚기 힘들어요" 금융권 연체액 23조800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