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한국이 중국 문화 도용?...서경덕 “정말 어이가 없다”
- 中 네티즌, ‘한국장인’ 손잡은 펜디 비판
펜디 측 협업 핸드백 게시글 결국 삭제

2일 업계에 따르면 이태리 명품 브랜드 펜디(FENDI)는 한국 전통 매듭장인과 함께 제작한 핸드백 관련 게시물을 공식 홈페이지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서 삭제했다.
앞서 지난해 말 펜디는 서울시 무형문화재 13호 김은영 매듭장인과 협업한 핸드백을 공개한 바 있다. 최근 펜디는 지난 1997년 디자인된 핸드백(일명 바게트 백)에 각국의 문화·예술을 재해석해 담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펜디 측이 최근 김은영 장인과 협업한 핸드백 관련 게시글을 삭제한 이유는 중국 네티즌 등의 반발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이 중국의 매듭 문화를 도용했다는 것이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 등에 따르면 중국 네티즌들은 펜디가 김은영 장인과 협업해 만든 핸드백의 매듭 디자인 뿌리가 ‘한국’이라고 소개한 점을 지적했다. 특히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매읍은 당과 송나라의 민속 예술에서 시작했으며, 명과 청나라 때 인기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논란이 일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개인 SNS에 “한국 전통매듭을 중국 것이라고 우기는 것은 정말 어이가 없다”며 “중국은 자랑할 문화가 그렇게 없나”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중국인들의 삐뚤어진 중화사상과 문화 패권주의적 발상은 중국을 전 세계에서 ‘고립국’으로 만들어 간다는 사실을 반드시 명심해야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프로메디우스, 대한결핵협회와 결핵·골다공증 조기 발견 위한 MOU 체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MLB 올스타전 신기하네, 홈런 스윙오프 실시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영끌 후폭풍 무서워”…고가 아파트 포기하는 계약자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미분양에 발목 잡힌 대방이엔씨, 불어난 미수금에 차입 부담 과중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