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텅텅' 빈 채로 돌아온 전세기, 승객 170명 행방은…

[사진 제주도 제공]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제주도와 필리핀을 잇는 전세기가 승객들을 태우지 않고 귀국해 여행객 170여명이 현지에 발이 묶이는 황당한 일이 일어났다.

5일 제주도와 제주도관광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3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현지시간 오후 4시 30분쯤 제주도로 출발 예정이었던 로얄에어 전세기가 당초 탑승키로 했든 승객들을 태우지 않은 채 빈 항공기로 돌아왔다.

이에 해당 전세기에 탑승해 제주로 돌아올 예정이었던 여행객 170여명은 귀곡하지 못하고 필리핀에 머무르게 됐다. 이들 대부분은 제주도민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세기가 탑승객들을 태우지 않고 4시간 전 이미 제주공항으로 떠나버렸기 때문이다. 빈 채로 돌아온 이유에 대해서 현지 필리핀 여행사와 로얄항공이 책임 공방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피해 여행객 등은 항공사 측으로부터 3일 오후 4시 30분 '마닐라 출발'이 아닌 오후 4시 30분 '제주 도착'으로 오인했다는 설명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도관광공사 관계자는 "전세기 운항은 제주와 필리핀 여행사, 항공사 간 협력을 통해 이뤄지는 데 현재 해당 항공편이 어떤 이유로 승객을 태우지 않고 운항했는지에 대한 정확한 경위가 파악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제주도와 지역 관광 업계는 하늘길을 넓히기 위해 외국을 오가는 전세기를 유치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해당 여행사도 올해 말까지 전세기를 6차례에 운항한다고 홍보하며 여행객들을 모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첫 상품부터 국내 여행객들이 발이 묶이는 황당한 일이 벌어지고, 여행사와 항공사의 책임 공방이 이어지며 관광 활성화 노력이 시작부터 삐걱대기 시작한 것이다.

피해 보상과 관련해 모객 여행사 대표는 "우선 귀국이 먼저"라며 "여행 계약 내용과 항공사 계약 내용 등을 살펴보면서 처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전세기 운항은 제주도와 관광공사가 지난해 12월 마닐라 현지에서 진행한 제주관광 세일즈의 결실로, 도와 공사는 제주 직항 국제노선 전세기에 대해 인센티브를 지원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6또 터진 금융사고...‘취임 100일’ 강태영 농협은행장, 무거운 어깨

7금감원, 美 상호관세 대응 ‘총력’…매주 원장 주재 회의

8글로벌 스타트업 페스티벌 '컴업 2025' 주관기관으로 코스포·벤기협·VC협회 선정

9"만화왕국 日에서 1위 매출이 네이버웹툰?"...라인망가, 앱 매출 날았다

실시간 뉴스

1홍상수·김민희, 불륜 중 ‘득남’…혼외자 호적 '난제' 남았다

2"청년이 머무는 도시로!" 경주시, 올해 105억 규모 청년정책 운영

3"2027년에는 포항산 연어 나온다" 스마트양식 클러스터 순항

4수원 광교호수공원에 500명 모여…‘함께고워크’ 캠페인은 무엇?

5"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