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신라면·새우깡 비싸진다...농심, 출고가 평균 7.2% 인상
- 지난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만
팜유·전분류·스프원료 등 구매비 증가

6일 농심에 따르면 회사는 오는 17일부터 총 56개 라면 및 스낵 브랜드 중 17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만이다.
농심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원가절감과 경영 효율화를 추진하는 등 인상 압박을 견뎌 왔지만, 원재료비와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가격 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경영 여건이 더 악화되기 전에 시급하게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라면 원가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팜유와 전분류, 스프원료 등의 구매비용이 증가했다. 평균 환율과 인건비 등 제반비용 또한 상승했다. 이런 악조건 때문에 농심(별도기준)의 지난해 분기별 영업이익율은 지속적으로 하락, 4분기에는 1.7%를 기록했다.
이번에 인상되는 품목은 라면 31개 브랜드중 14개, 스낵 25개 중 3개 브랜드다. 주요 제품의 인상폭은 출고가 기준으로 ▲신라면 5.3% ▲너구리 4.4% ▲안성탕면 5.4% ▲짜파게티 8.3% ▲새우깡 6.7% ▲쫄병스낵 8.5% 등이다. 각 제품의 실제 판매가격은 유통점별로 상이할 수 있다.
농심은 이번 인상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대형마트·편의점·이커머스 등 영업현장에서 주요 라면과 스낵 제품에 대한 할인과 증정행사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윤석열 "하루하루 힘들어" 옥중 편지 공개..."특검, 악의적"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연복 밀키트서 대장균 검출, 결국 사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단독]정부 공공 입찰까지 올스톱…서울보증 전산 사흘째 먹통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후광이 사라졌다" 기업 신용등급 거품 꺼지나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비보존, 비마약성 진통제 본격 판매…5년 내 매출 1000억 정조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