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부활의 날, 머지 않았다?…전문가 주목한 '이 지표'는

7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는 제조업 PMI와 비트코인 가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세장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제조업 PMI는 경기 선행 지표 중 하나로 과거 2017년과 2021년 비트코인 강세장은 PMI 정점과 맞물려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1월 PMI가 2년 만에 성장세로 돌아서면서 비트코인의 추가 상승 가능성이 제기됐다.
리얼비전 창립자 라울 팔은 "비트코인 강세장의 정점이 2025년 말이나 2026년 초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전통 경제 지표와 비트코인이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번 PMI 상승이 긍정적 신호라는 설명이다.
이와 맞물려 미국 정부의 정책 변화도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업계 주요 인사들과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공식 인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약 20만 개의 비트코인을 전략적 준비금(SBR)으로 보유하게 된다. 해당 자산은 형사 및 민사 자산 몰수 절차를 통해 확보됐으며 세금이 직접 사용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악관 암호화폐 담당자 데이비드 색스는 이번 회담이 "업계의 피드백과 조언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비트코인 준비금을 "디지털 금의 포트 녹스"라 표현하며 국가 자산으로 간주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SBR은 비트코인을 포함해 총 5개의 암호화폐를 보유하지만, 디지털 자산 비축량은 추가 매입 없이 단순 보유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비트코인 중심의 전략이 최선의 선택이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비트코인의 신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스토니 체임버스 자산 리서치는 "미국의 비트코인 보유 결정은 글로벌 경제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영국, 일본, 독일뿐 아니라 중국, 러시아도 암호화폐 정책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시장 반응은 엇갈렸다. 정상회담 당일 비트코인 가격은 3.2% 하락해 8만6900달러를 기록했다. 정부의 직접적인 추가 매입 계획이 발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됐으나, 실제 정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가격이 하락했다. 미국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는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는 유지될 것이며, 달러 페깅 스테이블코인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비트코인 시장의 흐름은 제조업 PMI 같은 경제 지표와 미국 정부의 추가적인 정책 변화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주목하며, 변동성 속에서 신중한 투자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신한은행, 전역장교 30여명 신규 채용한다
2어니스트AI, 금융규제 샌드박스 통한 '대출 플랫폼' 4월 출시
3금융 AI 핀테크 혜움, 105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4 정부,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로 확정
5코스피, 블랙먼데이 이겨내고 2% 내외 반등…반도체주 상승
6유니클로, 제주·대구 매장 오픈 예정...지역사회와 사회공헌 캠페인
7올 1분기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 1만2358가구…16년 만에 '최저'
8“취향대로 고르는 호캉스”...교원 스위트호텔 제주, 봄·여름 시즌 패키지 선봬
9코빗, 신한은행과 비영리 법인 가상자산 관리 서비스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