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비트코인, 美 CPI 둔화에 회복…1억2400만원대

업비트, 0.74% 상승…1억2413만원 거래

비트코인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비트코인이 간밤 반등하며 1억2400만원대를 회복했다.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치보다 덜 오르면서 투심이 일부 회복된 영향이다.

13일 오전 8시50분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2.23% 오른 1억2410만원을 기록했다.

같은 시각 업비트에서는 0.74% 상승한 1억2413만원에 거래됐다. 가상자산 시황 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서는 24시간 전보다 1.23% 뛴 8만3806달러를 나타냈다.

시가총액(시총) 2위 이더리움은 280만원대를 이어갔다. 같은 시각 이더리움은 빗썸에서 2.06% 오른 282만원을, 업비트에서는 0.98% 하락한 282만원을 기록했다. 코인마켓캡에서는 0.60% 빠진 1908달러에 거래됐다.

시총 상위권 주요 알트코인들도 반등세로 돌아섰다.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 기준 리플은 3.32%, 도지코인은 4.97% 각각 올랐다.

비트코인의 국내외 가격 차이를 뜻하는 김치프리미엄은 1%대로 내려왔다.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 비교 플랫폼 크라이프라이스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7분 기준 비트코인 김치프리미엄은 1.99%다.

이날 가상자산 시장은 2월 미국 CPI 상승 둔화에 주목했다.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조정받던 시장이 일부 회복한 것이다.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완화하자 위험자산에 대한 투심이 살아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2월 CPI 수치에 안심해서는 안 된다고 봤다. 2월 CPI에서 관세 영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향후 상승 가능성이 계속 남아있다는 설명이다.

이 가운데 비트코인 대형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줄면서 반등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크립토퀀트 기고자 다크포스트는 전날 "바이낸스 비트코인 고래(대형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줄고 있다. 과거 사례를 보면 이 지표가 하락하면 상승세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같은 추세가 계속될 경우 현재 시장 조정이 끝나고 반등이 올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2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3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4청년 전세대출로 21억 ‘꿀꺽’…사기 일당 줄줄이 징역형

5오늘 태어난 아이는 60년 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6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중앙亞 출장길 올라 “성장 지역 교류 확대”

7“인조가죽을 ‘#에코레더’라 광고” 공정위, 무신사 ‘그린워싱’ 제재

8재탕? 이제는 새롭게 재창조…이유있는 올드 IP 흥행 열풍

9“역시 아는 맛이 제맛”…유저들이 올드 IP를 선호하는 이유는?

실시간 뉴스

1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2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3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4청년 전세대출로 21억 ‘꿀꺽’…사기 일당 줄줄이 징역형

5오늘 태어난 아이는 60년 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