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이슈
‘취업난 → 구인난’ 현실로...2033년까지 일손 82만명 부족
- 경제활동인구 2030년부터 감소, 여성·청년·고령자 노동시장 유인책 절실

17일 한국고용정보원은 2033년까지 우리나라 노동 시장의 공급(경제활동인구)과 수요(취업자)를 전망하고, 추가 필요 인력을 제시한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을 발표했다.
먼저 2023∼2033년 경제활동인구는 24만8000명 증가하지만, 과거 증가 폭의 10분의 1 이하 수준으로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는 2003∼2013년에는 306만5000명, 2013∼2023년에는 309만5000명 증가했고 2023∼2033년의 24만8000명은 앞선 연도 수치들의 8% 수준에 불과하다.
경제활동인구는 전망 전기(2023∼2028년)에는 증가하지만, 후기(2028∼2033년)에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구체적인 감소 시점은 2030년부터다.
양적으로 축소될 뿐만 아니라 고령층의 비중이 확대되는 등 구성 효과 때문에 노동공급의 제약은 더욱 심화할 것으로 고용정보원은 예측했다.
같은 기간 취업자 수는 31만2000명 증가하겠지만, 전망 후기에는 약 8만5000명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구체적으로는 2028년에 최고점인 2881만3000명을 찍은 후 2029년부터 전년 대비 1만4000명 줄어 감소세로 전환될 전망이다.
취업자 수 또한 2003∼2013년에는 304만9000명, 2013∼2023년에는 311만6000명 증가했는데 이번 전망의 31만2000명은 앞선 수치 대비 10% 수준이다.
고용정보원은 우리 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산업 전환 및 노동시장의 중대한 구조적 전환기가 도래한 만큼 인력 수급을 위한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노동력 감소에 대응해 청년, 여성, 고령자 등 잠재 인력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강화하고, 업종·직종별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내다봤다.
고용정보원 관계자는 "경제활동 참여율이 낮은 여성과 청년, 고령자에 대한 유인책을 제공해 노동시장의 참여를 확대하는 것이 첫 과제"라며 "기술변화에 적시 대응해 생산성 높여 부족한 노동력을 보완하는 정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많이 본 뉴스
MAGAZINE
MAGAZINE
Klout
Klout
섹션 하이라이트
섹션 하이라이트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 모아보기
- 일간스포츠
- 이데일리
- 마켓in
- 팜이데일리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강원래와 이혼 잘했다” 악플에 김송 분노 “욕도 아까워”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의 국민소득 '5만불'..10년 전 경제연 예측 왜 틀렸나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EU있는경제]투자만이 살 길…PE 규제 허물고 반등 노리는 英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필름형 '서복손' 성공 길 걷겠다"…CMG제약, '메조피' 美안착에 올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