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주택시총에서 수도권 비중 67.7%

[이코노미스트 이병희 기자] 서울의 주택시가총액이 2300조원을 웃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은 26일 통계청과의 공동 포럼에서 지난 1월 새롭게 공표한 2011~2023년 지역별 주택시가총액 주요 편제 결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에 따르면 2023년 말 전국 기준 주택시가총액은 6839조원, 이 중 서울은 2320조원을 기록했다. 경기(1986조원), 부산(389조원), 인천(321조원)이 뒤를 이었다. 서울과 경기, 인천의 주택시가총액이 전국의 67.7%에 달하는 셈이다.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 주택시가총액에서 아파트 비중이 비(非) 아파트(단독·연립·다세대주택)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기준 아파트 비중은 76.3%를 기록했고 단독주택은 15.5%, 연립·다세대주택이 8.2%를 차지했다.
수도권 아파트 비중은 2015년 72.3%에서 2023년 78.2%로 커진 반면 단독주택 비중은 16.3%에서 11.6%, 연립·다세대주택 비중은 11.4%에서 10.2%로 줄었다.
한은은 해당 조사에 대해 “주택 가치 상승에 따른 부의 효과를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지역의 금융 불균형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출 막혔는데…"지금이 기회" 외국인, 서울 아파트 싹쓸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프로레슬링 전설’ 故 헐크 호건은 누구? [왓IS]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하루새 115% 급등"…미국 개미들 쓸어담은 무명의 종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슈퍼달러에 웃었던 국민연금, 올해 환율 효과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삼천당 상한가 만든 비만치료제 BE Study...전문가들은 ‘반신반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