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일반
박관호 위메이드 대표 “불합리한 거래소 결정에 끝까지 대응할 것”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박관호 위메이드 대표가 주주서한을 통해 거래소들의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관호 대표는 6일 주주서한을 통해 “위믹스 관련 소식으로 주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고는 글로벌 게임 유저들이 사용하는 ‘위믹스 플레이의 브릿지사고’로 메인넷 보안과는 무관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그는 “위믹스의 가격 하락 또한 사고 직후가 아닌, 국내 거래소들이 위믹스를 유의종목으로 지정한 발표 시점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국내 거래소들이 아무런 법적 권한이나 실체도 없는 닥사(DAXA)라는 사적 모임을 내세워 내린 자의적이고 일방적인 야합의 결과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거래소들의 일방적인 결정 과정과 비공개 기준은 시장의 신뢰를 저해하고 있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투자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며 “당사는 모든 법적 수단을 통해 거래소들의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표는 현재 위메이드가 핵심 사업과 미래 전략을 바탕으로 더 큰 시장을 향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메이드는 ‘미르’를 시작으로 한국과 중국 시장에서 성공적인 사업을 전개했으며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미르4’, ‘나이트크로우’를 통해 아시아, 남미 시장을 개척해 성공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당사는 2024년 연간 실적 기준으로 전체 매출 7118억원 중 5181억원, 약 72.7%가 해외에서 발생했으며, 이는 위메이드의 사업 구조가 이미 글로벌 중심으로 전환됐음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덧붙였다.
위메이드는 여러 신작도 준비중이다. 박 대표는 “위메이드는 기존 시장과 장르의 한계를 넘어, 더 넓은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을 지속하고 있다”며 “일본에서는 5월 ‘판타스틱베이스볼 일미프로’를 런칭하고 현지 시장 특성을 반영한 신규 서브컬처게임, 수집형 RPG를 준비 중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미국발 블록체인 규제 완화 흐름을 타고, 당사의 강점인 블록체인 게임으로 북미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것”이라며 “동시에, '블랙벌처스'와 같은 PC/콘솔 기반의 FPS 장르에 새롭게 도전해 글로벌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이어 “중국에서는 현지 개발과 현지투자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최근 홍콩법인 및 중국 현지 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서 중국 사업의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구축했고 ‘미르M’이 오는 8월 정식 출시될 예정”이라며 “우리는 ‘미르4’와 ‘나이트 크로우’를 통해 축적한 토크노믹스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고 있으며, ‘레전드 오브 이미르’에서는 이를 한층 발전시킨 형태로 진화시켜 위믹스가 직접 사용되는 게임 토크노믹스를 설계하고 있다. ‘레전드 오브 이미르’는 올해 4분기 글로벌 런칭을 목표로 준비 중이며, 개발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혁신의 선도자로서 25년의 경험, 우리는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위메이드는 지난 25년간 수많은 도전과 난관을 혁신과 실행력으로 돌파하며, 시장을 선도하는 게임 회사로 성장해왔다. 우리의 목표는 여전히 확고하며, 열정과 실행의 발걸음은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한수원 체코 원전 계약 최소 6~8주 연기…현지 법원서 ‘제동’(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이데일리
“故 이선균·강명주 추억하며”…백상예술대상 빛낸 동료애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SKT 위약금 면제 논란…수조원 손실 우려에 통신 업계 긴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나스닥 상장은 정말 호재일까…미국행의 불편한 진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트럼프 46% 베트남 관세 폭탄도 못 막는다'…삼일제약 CMO 초저가 공습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