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수도권 신도시가 10년간 일자리 증가의 절반 흡수…지방 고용 양극화 심화
- 전체 취업자 증가분 331만명 중 47%가 수도권 신도시 집중

한국고용정보원은 9일 '지역노동시장 양극화와 일자리 정책과제' 연구 보고서에 이런 분석 결과를 실었다고 밝혔다.
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이 2013∼2023년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취업자 수가 증가한 전국 상위 20개 시군 중 12곳이 수원시 등 수도권 신도시였다.
10년간 수도권 신도시에서 증가한 취업자 수는 150만명으로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 수 증가분 331만명의 46.8%로 나타났다.
특히 수원시와 화성시, 용인시, 시흥시 등 경기 남부권의 일자리가 크게 늘었다.
비수도권 중에서 취업자가 증가한 상위 도시는 세종시, 전남 나주시와 전북 완주군 등 혁신도시, 수도권에 인접한 충남·북 산업도시들이었다.
전체 취업자와 마찬가지로 청년 취업자도 수도권·대도시에서 많이 늘어난 반면 지방 인구소멸위험 지역에서는 감소했다.
2023년 1분기 전체 취업자 중 청년층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기 안산시(17.4%)와 충남 천안시(16.6%)였다.
반면 전국에서 청년 취업자 비중이 가장 낮은 1.8%를 기록한 전북 순창군은 10년 전보다 청년 취업자 수가 70%나 감소했다.
조선업 밀집 지역을 포함한 영호남 산업 도시들의 쇠퇴로 기존에 남성 중심의 고용구조를 보였던 광양시와 거제시, 여수시, 영암군 등의 여성 고용률은 많이 증가했다.
그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상대임금 격차도 확대돼 2013년에는 임금이 높은 상위 지역에 비수도권 산업도시들이 20곳 중 8곳이나 포함됐으나 10년 뒤인 2023년에는 6곳으로 줄었다.
2023년 비수도권 지역 중에서는 세종시가 3위로 유일하게 상위 10위 안에 들었다.
이 위원은 수도권과 지방 간 일자리 양극화가 확대된 데 대해 "지역의 인재 유출, 특히 청년층 유출과 제조업 쇠퇴에 가장 큰 원인이 있다"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중소기업의 일자리 질을 개선하는 지원 정책들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이노보테라퓨틱스 ‘INV-101’ 美 임상 1상 결과 안전성 확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이데일리
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영원한 뽀빠이' 안녕히…이상용 향년 81세 별세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국힘 단일화` 시계제로…法, 김문수 아닌 당 지도부 손 들었다 (종합)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주기적 감사인 지정이 되레 투자자 혼란 가중…“명확한 지침 필요”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상반기 기네스는 따놓은 당상” 이수앱지스, 이라크 공급 개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