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연차 아닌 업무별로 월급 줘야죠”...Z세대 취준생 열광한 ‘이 제도’는
- 10명 중 8명 "직무급제 찬성"
"‘전문성, 기술 수준’ 기준으로 판단해야"

17일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3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가 ‘직무급제’에 찬성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의 난이도, 중요도, 전문성에 따라 급여를 차등 지급하는 이 제도는 일부 대기업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찬성 이유로는 ‘업무 가치에 맞는 합리적 보상 체계라서’가 7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어려운 직무에 도전할 동기가 생겨서’(12%) ▲‘조직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 ▲‘연공서열보다 공정한 방식이라서’(4%)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반면, 직무급제에 반대하는 이들은 ‘직무 가치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52%)는 점을 가장 큰 이유로 들었다. 또한 ▲‘직무 간 위계나 차별 구조가 우려된다’(22%) ▲‘인기 직무 쏠림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13%) ▲‘저평가된 직무 종사자의 의욕 저하가 우려된다’(12%)는 응답도 있었다.
Z세대는 ‘직무의 전문성과 기술 수준’(62%)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다. 이외에도 ▲‘조직 기여도 및 사업 성과와의 연계성’(33%) ▲‘업무의 책임 강도’(26%) ▲‘근무 환경 및 위험도’(19%) ▲‘대체 가능성’(9%) 등이 뒤를 이었다.
한편 “입사 직무 외에 더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직무로 전환할 수 있다면 이동하겠느냐”는 질문엔 83%가 ‘이동하겠다’고 답했다. Z세대가 연봉 중심의 유연한 커리어 이동에도 적극적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Z세대는 단순히 몇 년 일했느냐보다, 내가 어떤 가치를 만들어냈느냐에 집중한다”며 “직무급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명하고 명확한 직무 가치 기준과 체계적인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린·이수, 11년 만에 이혼…"절차 마무리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린·이수, 11년 만에 이혼…"절차 마무리 중"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본회의 올라간 노란봉투법…여야 필리버스터 ‘정면 충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세금 0원에 150억 환차익 ‘잭팟’…유럽 빌딩 투자했더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압타바이오, 급성신손상 예방약 내년 기술이전 자신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