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더 빨라진 가계대출 증가 속도…5대 은행 보름 새 2.9조↑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주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이 이달 들어 불과 보름 사이 벌써 3조원 가까이 불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5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5조9827억원으로, 4월 말(743조848억원)보다 2조8979억원 많다.
증가 속도가 월말까지 그대로 유지된다면, 이달 전체 증가액은 약 5조8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증가 폭이 지난달(+4조5337억원)보다 1조3000억원가량 뛰어 2024년 8월(+9조6259억원) 이후 최대 규모에 이를 가능성이 있다.
5대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해 8월까지 치솟았다가 9월 이후 금리 인상과 당국·은행권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로 꾸준히 줄었고, 결국 올해 1월에는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4762억원 뒷걸음쳤다.
하지만 연초 금리 인하와 규제 완화 등으로 2월(+3조931억원) 반등한 뒤 3월(+1조7992억원)과 4월(+4조5337억원) 계속 늘었고 5월까지 증가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달 가계대출을 종류별로 나눠 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91조1678억원으로 4월 말보다 1조7378억원 불었다. 신용대출(잔액 103조5870억원)도 보름 새 1조939억원 늘어 4월 전체 증가액(8868억원)을 이미 넘어섰다.
은행권은 최근 가계대출이 꾸준히 늘어나는 가장 근본적 원인으로 금리 하락을 꼽고 있다.
기준금리가 작년 11월과 올해 2월 0.25%포인트(p)씩 두 차례 인하됐고, 시장금리도 떨어지면서 대출자의 금리 부담이 많이 줄었다는 설명이다.
예를 들어 KB국민은행의 16일 기준 신용대출 금리(금융채 1년·신용 1등급·3.57∼4.57%)는 하단 금리 기준으로 2021년 10월 말(3.47∼4.47%) 이후 무려 약 3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코픽스·6개월 주기·4.05∼5.45%)와 고정금리(금융채 5년·3.48∼4.88%)도 각 지난해 6월 말(3.74∼5.14%), 7월 말(3.34∼4.74%) 이후 약 11개월, 10개월 내 최저 기록이다.
여기에 지난 2월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규제 완화까지 더해져 2∼3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통한 주택 거래가 급증했고, 그 여파가 시차를 두고 계속 가계대출 취급 실적에 반영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커피원가 120원" 이재명에 국힘 맹폭…김문수 "자영업자 현실몰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하객만 1400명…54세 심현섭, 103번째 소개팅녀와 결혼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쫓겨난 김문수, 환영받은 이재명…5·18 참배로 미루어 보는 ‘호남 민심’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IET 이어 SK지오센 佛 계열사도…EOD 위기서 기사회생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삼천당제약, S-PASS 특허 출원 철회...후속 특허 기술도 없을 가능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