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K-스타트업 닷, MS Copilot 생태계에 한국 최초로 공식 파트너로 참여
- 닷, MS Build 2025에서 Inclusive AI 혁신 사례로 발표
PowerPoint를 AI 통해 촉각 인터페이스로 구현

[이코노미스트 최영진 기자] 한국의 스타트업 닷(Dot)이 마이크로소프트(MS)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인 ‘@Build 2025’의 공식 발표자로 초청되어 5월 20일(현지시간) Inclusive AI 솔루션 '닷 비스타’(Dot Vista)를 발표했다. 한국 스타트업 최초로 MS Copilot 생태계의 공식 파트너로 참여한 것이다.
Dot Vista는 닷의 AI팀과 한양대학교 ERICA 인공지능학과 유용재 교수 연구팀의 산학 협력을 통해 개발됐다. Windows AI API와 DotPad 촉각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MS PowerPoint 파일의 그래프 및 차트 와 같은 시각적 콘텐츠를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Windows용 Inclusive AI 애플리케이션이다. 전 세계 시각장애인이 디지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이번 발표에서 닷은 세 가지 핵심 Windows AI API를 통합한 Windows Copilot+ PC에서 라이브 데모를 선보였다. 닷이 개발한 시각장애인용 패드를 활용해 파워포인트 발표 자료의 텍스트와 시각 정보를 음성과 점자로 출력해 시각장애인 사용자가 프레젠테이션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김주윤·성기광 닷 공동창업자는 “Windows AI API는 복잡한 LLM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빠르게 요약하고 핵심 정보 추출이 가능한 경량 설계를 할 수 있었다”면서 “내장된 NPU 덕분에 인터넷 연결 없이도 Microsoft Surface 기기와 같은 Copilot+ PC에서 로컬로 안정적으로 실행이 가능해졌다”라고 설명했다.
닷의 주력 제품인 닷패드는 기존의 한 줄의 점자 디스플레이 한계를 넘어, 최대 7줄을 한 번에 점자 및 촉각 그래픽으로 읽을 수 있게 만든 디지털 촉각 디바이스다. 특히 ▲수학 공식 ▲프로그래밍 코드 ▲표 등의 복잡한 구조를 쉽게 표현해 학습 효율과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닷은 영국 옥스퍼드대와 미국 보스턴칼리지·매사추세츠대 등과 함께 다양한 전공 과목의 '촉각 커리큘럼'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옥스퍼드대의 촉각 학습 분야를 이끄는 연구자인 마지아르 자레파르바르(Maziar Zarrehparvar)는 “닷팀이 AI를 활용해 콘텐츠를 더욱 인터랙티브하고 몰입감 있게 만들어가는 방식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면서 “닷의 고도화된 AI 모델을 통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맞춤형 학습의 미래가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다고 느낀다. 옥스퍼드대는 닷의 AI 기반 맞춤형 교육 접근 방식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닷은 또한 영국 왕립시각장애인협회(RNIB)와 미국 도서관 등과의 파트너십도 확대하고 있다. 시각장애인 접근성 교육과 디지털 공공서비스 분야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ES 최고 혁신상과 사우스 바이 사우스웨스트(SXSW) 혁신상 등을 수상하며 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은 닷은 북미·남미·중앙아시아 등 주요 교육기관과도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닷은 삼성증권과 함께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를 준비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육사 수석·서울대’ 서경석, 연예인 최초 만점…한국사 강사됐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마켓인
[단독] 어도어 vs 뉴진스, 先 전관 대응 의미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이재명 '호텔경제론'은 진짜 불가능할까?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코스닥 상장사 디모아, 자회사 디씨온 클러쉬에 매각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파미셀, 줄기세포 치료제 업체에서 AI 첨단산업소재 업체로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